국내 첫 디지털헬스케어 인증제 추진, 인센티브 마련 관건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인증제가 추진된다. 기업이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해 임직원 건강관리에 노력하면 인증을 부여한다. 디지털헬스케어 업계에 성장 발판이 될지 주목된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디지털헬스케어 인증제를 논의한다고 22일 밝혔다. 디지털헬스케어 인증제는 국내 서비스 수준 제고와 시장 확산이 목적이다. 여성가족부 '가족친화인증기업'과 유사한 방식이다.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올해 초부터 시장 확대 전략으로 인증제 마련을 검토했다.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됐지만 비즈니스 모델이 부족하고 수요자 연결고리가 약했다. 병원과 일반 소비자 대상 영업을 전개했지만 한계가 있다. 수가 반영 등 수익모델이 불분명하고 일반 소비자를 유인할 인센티브가 부족했다.

기업 소비자로 눈을 돌렸다. 직장인 건강관리가 이슈로 부각되면서 정부·기업 합동 직장 내 건강관리 체계 마련 목소리가 높다. 미국에서는 500대 기업 80%가 임직원 건강관리프로젝트(EAP)를 도입했다. 일본에서도 '건강경영 우량 법인 화이트 500'을 실시해 직원 건강관리를 경영 요소로 평가한다.

송승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장은 “최근 국내에서 직장인 건강관리 강화 목소리가 높은데다 정부, 국회에서도 관심이 높다”면서 “출시한 여러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신뢰성을 높이고 시장을 만든다는 점에서 인증제 실시가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협회는 7월까지 인증제 실시 방안을 마련한다. 인증 대상, 범위, 인센티브, 심사·부여 기관 등을 결정한다.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이 성숙되지 않은 것을 감안, 민간 인증으로 시작하는 것을 검토한다. 국가인증으로 시작하면 진입장벽이 되거나 규제로 작용한다는 판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처음부터 국가인증으로 시작하면 신규 진출 기업이나 기존 업체에 진입장벽이 된다”면서 “유연하게 민간 인증으로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필요 시 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은 2014년 3조원에서 연평균 12.5%씩 성장할 전망이다. 정보통신기술(ICT) 발전과 헬스케어 접목이 가속화되면서 국민 건강은 물론 국가 신성장 산업으로 주목 받는다. 하지만 원격의료, 의료 빅데이터 등 관련 법 규제와 비즈니스 모델 부족은 걸림돌이다. 상대적으로 기술 장벽이 낮아 많은 중소기업이 시장에 뛰어들지만 성공사례는 거의 없다.

산업계는 디지털헬스케어 인증제로 신시장 창출을 기대한다. 국가 보건의료 패러다임은 치료에서 예방으로 전환한다. 기업 복지가 강조되는 환경에서도 디지털헬스케어는 의미 있는 도구다. 산업육성, 직장인 건강, 국가의료비 절감 등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인센티브 마련이 관건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예산 지원을 고려하지만 규모는 확정하지 않았다. 기업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확실한 인센티브와 민간인증 한계를 해소할 공신력 확보도 중요하다.

송 회장은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은 영세 중소기업이 주류를 이루는데다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면서 검증 필요성도 커진다”면서 “하반기 전략을 마련해 신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담보하는 제도를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