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자살위험을 예측하는 등 혁신적 정신건강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복지부는 10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정신건강 기술개발' 계획을 보고했다.
복지부는 막대한 사회경제적 부담과 국민 4명 중 1명이 경험하는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살위험 예측기술 △지능형 정신건강 상담기술 △노인마음 돌봄기술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정착지원 기술 △AI 기반 정신건강기술 플랫폼 등 5개 영역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정신질환 사회경제적 부담은 정신행동장애(치매제외)가 7조7539억원, 자살이 6조4480억원으로 전체 질병의 사회경제적 부담 148조2514억원의 9.6%를 차지했다.
복지부는 자살징후 조기발견, 거부감 없는 정신건강 진단·관리,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 등을 돕는 정신건강 기술기반이 마련되면, 자살 고위험군 자살률이 현재 0.7%에서 0.35%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울증 등 정신질환 이환 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이 16.9%에서 50%로 향상되고, 등록 정신질환자 취업률이 8.3%에 15%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헬스케어 특위는 스마트 헬스케어, 신약·의료기기 혁신, 사회문제 해결, 규제·인프라 정비 등 핵심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연구개발, 시장진입, 제도개선, 인력양성 등을 심층 논의하는 기구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