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테크노밸리가 조성 10년 만에 연구개발(R&D)과 기업지원시설 집적지로 자리잡았다. 모바일, 디스플레이, 3D프린팅, 전자의료기기, 국방 등 5000억원 규모 국책사업을 추진하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산업단지로 거듭나고 있다.
금오테크노밸리는 금오공대 이전 부지와 건물에 조성한 단지다. 당초 정부는 민간에 매각할 계획이었으나 구미시가 기업을 위한 R&D와 기업지원시설로 꾸며야한다고 건의해 지금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다. 2011년 3만5019㎡ 규모 부지를 확보한데 이어 지난해 2753㎡를 추가 매입했다.

이 곳에는 현재 모바일융합기술센터, IT의료융합기술센터, 3D디스플레이 부품소재실용화지원센터, 웨어러블디바이스사업화지원센터,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등 다수의 R&D기관이 들어섰다.
구미시종합비즈니스센터에는 출입국관리사무소, 구미중소기업협의회, 한국산업인력공단, 근로자건강센터, 한국수출입은행 등 다양한 지원기관이 입주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교육부 및 4개 대학이 참여한 QWL밸리 산학융합지구도 운영한다. 6개 학과 480명의 학생이 상주한다.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도 이곳에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산단이 과거 대기업 위주 단순 임가공생산체제에서 중소기업이 자체 기술력을 갖는 R&D 산단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면서 “그 중심에는 금오테크노밸리가 있다”고 말했다.
[금오테크노밸리 주요 사업현황]

구미=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