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패널토론

◇신홍현 3D프린팅연구조합 이사장

IT분야 리서치 기업인 가트너는 3D프린팅을 10대 미래기술 중 하나로 선정했다. 가트너는 올해가 3D프린팅 소재의 해라고 했다. 가능성을 넘어 현실화를 위해 소재발전이 중요하다고 제시한 것이다.

3D프린팅 발전이 느린 것은 사실이다.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움직인 것이 4년차에 접어들었다. 정부 투자도 많았다. 올해는 그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3D프린팅연구조합도 올해를 비즈니스모델, 즉 성공스토리를 만드는 해로 설정했다.

3D프린팅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기술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가장 흔한 것이 의료분야다. 사물인터넷(IoT), 드론 등도 3D프린팅과 연계해 발전할 수 있다. 이런 융합이 현실화되려면 제반 여건이 필요하다. 연구조합은 3D프린팅 관련 유관기관, 학교, 교육, 아티스트와 협력해 우리나라 3D프린팅 분야 메카로서 정보 공유하는 그림을 만들어가고 있다.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보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려고 노력 중이다. 현실적으로 3D프린팅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중요하지만 제약 요건이 많다.

예를 들면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문을 디자인 하는데 과거 6개월 걸렸는데, 지금은 3주면 가능하다고 한다. 3D프린터가 이를 가능하게 했는데, 최소 10억원짜리 프린터가 여러대 있어야 한다. 현대차 같은 대기업 아니면 할 수 없다.

그런데 중소기업은 1년에 제품 하나 개발하는데 10억짜리 3D프린터 구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3D프린팅 시설을 만들면 기업들이 공유경제처럼 3D프린터를 사용하고, 사용량이 늘면 렌털 서비스도 생겨날 것이다. 수요가 더 늘면 지역 공단이 투자해서 구축할 것이다. 장기적으로 이런 형태로 발전해갈 것으로 본다.

◇최진성 한국3D프린팅협회 회장

3D프린팅협회 올해로 설립 3년차다. 그동안 성과를 3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겠다.

먼저 국내 3D 생태계 확산을 위한 ‘창의 메이커스 데이’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기존 세미나와 다른 것은 특정 주제를 정해서 3D프린팅 우수사례, 응용 비즈니스 모델 공유, 전시를 통한 체험 등을 집중해서 진행했다. 지금까지 7회 행사를 진행했고, 의료, 재난 드론, 제주 문화관광 상품 등의 주제를 다뤘다. 이런 오프라인 행사에 300~500명 정도 참여했다.

두 번째는 3D프린팅에 대한 산업동향, 취업 기회를 소개하고, 창조경제박람회 등에도 참여했다. 마지막으로 강사 인력양성 교육을 많이 했다. 정부와 협력해 초등학생과 일반인 대상 교육을 했고, 중급 이상 강사 교육도 했다.

올해 협회가 중점 추진할 3가지 계획도 있다.

첫째, 교육사업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문가 양성 교육을 추진한다. 특히 지금까지가 3D프린터 활용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활용의 앞과 뒤에 필요한 것도 가르칠 계획이다. 3D모델링과 안전 교육, 후가공 교육 등이다.

두 번?는 창의 메이커스 데이 지속 확대다. 다양한 응용처를 발굴하고, 비즈니스 사례를 공유할 계획이다. 나아가 사용자간 정보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도 만들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개발과 제도개선이다. 콘텐츠 유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고, 온라인 멘토링 서비스하는 플랫폼도 구축한다. 제도개선은 의료 등을 포함해 3D프린팅이 활발히 응용되는 분야가 있는데, 타 산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니 개선안을 준비해 정부에 건의하겠다.

◇이용우 TPC 메카트로닉스 본부장

고무적인 것은 정부 차원 정책과 지원제도가 지난해 다르고 올해 다르다는 점이다. 현장에서 혜택을 느낄 수 있는 쪽으로 지원제도가 발전하고 있다.

현실을 간단하게 말하겠다. 현재 우리나라 3D프린팅 관련업체가 97개사 정도 있다. 이 중 90% 이상이 10인 미만 영세업체다. 지난해 말 금액기준 국내 시장규모는 8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여기서 국내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100억원 정도다.

결론적으로 국내 업체에게는 시장이 절대적으로 협소하다. 이런 상황에서는 3D프린팅 업체 생존 자체가 불투명하다. 글로벌 경쟁은 꿈도 못 꾸는 상황이다. 기술개발보다 현장에서는 생존을 위한 지원이 더 필요한 것 아니냐고 이야기한다.

금속 등 새로운 소재를 사용하는 국산 3D프린터를 개발하지 못하는 것이 기술 부족 때문이 아니다. 시장이 없어서 개발하지 않는 것이다.

지금 정부가 추진하는 3D프린팅 지원책을 보면 사용자 활성화에 집중돼 있다.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시장이 확대 발전하려면 수요와 공급이 같이 커져야 한다. 그런데 지금은 공급은 확대되는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요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지난해 중기청에서 전국 53개 대학을 선정해 3D프린팅 시설 구축을 지원하는 ‘테크숍’ 사업을 했따. 테크숍 하나 당 평균 1억7000만원씩 지원했다. 이 사업이 국내 산업계에 큰 도움이 됐다. 테크숍과 같은 직접적 지원책을 확대해달라고 제언 드린다.

그리고 지금 구축한 인프라, 즉 체험할 수 있는 무한상상실이나 셀프제작소에 가보니 외산 3D프린터가 있었다. 체험이나 교육 위해서는 보급형 장비로도 충분하다. 무한상상실 등에 국산 장비가 들어갈 수 있게 배려해 줬으면 한다.

그 다음 교육 쪽으로 이야기하면 영국은 초등학교에 3D프린팅이 정규과목으로 편성돼 있다. 우리도 초중고 교과에 포함시켜 풀뿌리 교육했으면 좋겠다.


권건호 전자산업 전문기자 wingh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