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가 아닌 `먹는` 지능형 인슐린의 개발 길이 열렸다.
김경택 UNIST 교수(나노생명화학공학부) 연구팀은 최근 세포벽을 본떠 만든 나노구조인 `고분자주머니(Polymersome)`를 이용, 주사나 수술이 아닌 경구복용이 가능한 지능형 인슐린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7일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실렸다.
김 교수 연구팀은 혈액 속 포도당 농도에 반응해 용해도에 변화를 일으키는 보론산 공중합체를 세계 최초로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이 합성 보론산 공중합체는 중성 pH에서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분자를 인지하고, 단당류 분자에만 반응한다. 즉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증가하면 보론산 공중합체로 이뤄진 고분자주머니가 녹아 내부에 담긴 인슐린이 배출되는 원리다.
특히 체내 혈당농도에 반응해 필요할 때만 배출하므로 일반 의약품처럼 만들어 복용할 수 있다는 점도 증명했다.
김경택 교수는 “현재 포도당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새로운 보론산 고분자와 이를 이용한 고분자주머니를 개발 중이며, 동물실험을 통해 더욱 안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