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전략기술을 기반으로 한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해 제도 개선 등을 논의하는 산·학·연·정 실무위원회가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연구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를 개최했다.
미래대화에는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구자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을 비롯해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 김기수 포스코홀딩스 원장, 김종두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김현우 삼성전자 부사장, 곽용재 네이버클라우드 최고기술책임자 등 국가전략기술 대표기업이 참석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스텍,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등 대학과 연구기관도 참여했다.
미래대화에서는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차세대 성장동력 및 국가 아젠다 발굴, 국가전략기술 인재 양성 및 제도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다. 참가자들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외에도 기업이 연구기관과 긴밀히 협업하는 시스템을 토대로 국가전략기술을 신속하게 사업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국가전략기술 민간 투자를 위해 정부가 기업이 과감히 도전하고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인재 양성 부분은 인공지능(AI), 양자기술, 반도체, 첨단바이오 등 핵심 분야 우수 인재풀 확대를 위한 종합대책 필요성이 강조됐다.
국가전략기술 신속 사업화를 위해 차별화된 산·학·연·관 연구협력체계 및 실패를 용인하는 일관적이고 장기적인 R&D 지원체계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이를 위해 대학·연구소 규제 자유 지역 지정 등 방안이 나왔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6조4000억원 규모 국가전략기술 관련 예산 규모를 내년에 확대하고, 민간 R&D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국가전략기술 세액 공제 등을 관계부처와 협의하로 했다.
인재 분야는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기술 분야 및 산업별 인재 육성과 세계 최고 인재 유치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NST 등 민·관으로 구성된 미래대화 실무추진위원회를 통해 국가전략기술 규제·제도 개선 등을 지속 논의하기로 했다.

유 장관은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재를 키우고, 우수 인재 이탈은 막되 세계 최고 인재가 유입되는 인재 생태계를 구현할 것”이라며 “국가전략기술 우수 성과가 신속하게 사업화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구자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장은 “국가전략기술 육성은 정부와 산업계의 공통 현안인 만큼, 산기협도 국가 과학 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 육성 방안 마련에 지속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미래대화 이후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국가전략기술 확인제도 시행 이후 현재까지 기술 보유·R&D 중인 △알지노믹스 △디씨티 머티리얼 △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 △진코어 △레티널 △인이지 등 6개 기업에 확인서와 현판을 수여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