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물가상승 대처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중국발(發) 물가상승 압력이 올 하반기에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른바 `차이나플레이션`(Chinaflation)이다.
14일 학계 등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높은 중국 의존도를 고려하면 중국의 물가 폭탄이 가뜩이나 높은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우리 경제에 더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지 우려된다.
반대로 중국이 최근 보여준 정책적 능력과 위안화의 완만한 절상속도를 감안할 때 물가고가 하반기까지 가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하반기 국내 물가에 파급 우려"
현재 중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 대비 4.9%로 5% 선에 근접한 상태다. 중국의 CPI는 지난해 11월 5.1%로 5% 선을 돌파했다가 12월 들어 4.6%로 잠시 꺾였지만, 올해 들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추세이다.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2%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물가상승 압력이 계속 가중되면 우리나라의 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의 임금과 물가 오름세 확대는 일반적으로 수입물가를 통해 국내 물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총 수입액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6.9%로 전체 수입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점하고 있다.
농산품과 섬유류 등 서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품목들의 비중이 높아 중국발 인플레이션은 한국의 체감물가에 더 크게 다가오는 것도 문제다.
중국의 수출물가 상승은 1~3개월의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차이나플레이션이 올 하반기에 국내 경제에도 파급 효과를 몰고 올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고유가와 국제 원자재시장의 가격불안이라는 현재의 요인에 더해 하반기부터는 중국의 경제정책 기조전환에 따라 임금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연세대 함준호 교수는 지난 10일 한국경제학회가 개최한 물가 심포지엄에서 "중국의 임금상승이 현실화되고 위안화 절상이 가속화되면 수입경로를 통해 중국발 인플레 압력이 하반기에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임지원 JP모건 수석이코노미스트 역시 "최근 중국의 단위당 노동비용이 오르고 있어 세계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던 중국이 이제는 인플레이션을 수출하는 진원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에서 최근 임금상승 압력이 더 커지고 있는 것은 중국 정부가 최근 수출중심에서 내수확대로 정책 방향을 전격 전환한 것과 관련이 깊다.
중국이 자국식 사회주의를 안정적으로 가져가기 위해 성장의 과실을 임금인상을 통해 고루 나눠줄 필요가 있고, 임금이 오르면 값싼 노동력에 의존한 수출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수를 통해 경기를 받쳐줘야 하기 때문이다. 내수확대로의 전환이 사실 임금을 올리겠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우리 경제에 큰 영향 없을 듯"
중국발 인플레 압력이 하반기에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와 반대로 우리나라의 물가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들도 있다.
중국경제 전문가인 동아대 지만수 교수는 "수입물가를 직접 결정하는 것은 환율로 중국 국내물가보다는 중국 위안화와 한국 원화의 상대환율 변화가 더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위안화의 절상속도는 현재 아주 완만하고 재작년과 작년 중국의 무역수지 흑자폭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위안화 절상속도는 앞으로도 매우 완만할 것으로 예상돼 한국의 수입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부에서 우려하는 것과 달리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국제경제학자도 "중국의 물가상승이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잠재적인 폭발력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이 최근 경제위기 이후 보여준 경제정책들의 수준을 볼 때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자국발 인플레가 전 세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국내적으로도 물가가 정권안보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물가고를 최대한 억제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경제 많이 본 뉴스
-
1
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연동 '좌초'…수수료 협상이 관건
-
2
단독CS, 서울지점 결국 '해산'...한국서 발 뺀다
-
3
'코인 예치' 스테이킹 시장 뜬다…386조 '훌쩍'
-
4
단독FIU, 업비트 KYC 부적정 건 제재심 연다
-
5
빗썸 KB행 신호탄…가상자산 거래소 실명계좌 '지각변동' 예고
-
6
[이슈플러스] '실손보험 개혁안' 두고 의료계 vs 보험업계 평행선
-
7
[이슈플러스] 1·2세대 실손도 '위험'…법 개정해 기존 계약까지 뒤집는다
-
8
은행 사활건 기업·소호대출, 디지털뱅킹 전면 부상
-
9
[ET라씨로] LA산불에 기후변화 관련株 급등… 케이웨더 23%↑
-
10
새해 첫 자금조달 물꼬튼 카드업계…“금리인하기, 내실부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