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일본과 중국 사이에 낀 ‘넛 크레커’ 위치에 있는 가운데 통신기기·가전·반도체 등 IT부문에서 중국과의 수출 경합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산업은행이 10개 주요 업종을 대상으로 한·중·일 3국의 수출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한·일 간에는 수직적 무역 비중이 2000년 80.9%에서 2007년 87.2%로, 한·중 간에는 수평적 무역 비중이 같은 기간 21.4%에서 25.0%로 상승했다. 수직적 무역 비중은 품질과 가격차이, 수평적 무역은 품질과 가격은 유사하지만 제품의 디자인·기능 등의 차이를 의미한다.
산업은행은 이같은 조사 결과와 관련 한·일간은 경쟁력 차이가 축소되지 않았고 한·중간은 가격 등에서의 경쟁관계가 축소돼, 소위 ‘넛 크레커’ 위치에 있는 한국의 위상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 수출 경쟁력을 보면 우리나라는 통신기기·반도체·자동차 부문에서 일본·중국에 비해 우위를 나타냈지만 컴퓨터 부문에서는 이들 국가에 비해 열위로 조사됐다. 또 우리나라는 중국과 통신기기·반도체 업종에서, 일본과는 자동차 업종에서 수출경쟁이 심한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중국이 저가제품 이미지를 탈피하고 글로벌 인지도를 높일 경우 우리나라와 IT부문에서 수출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은행은 보고서에서 “수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일본에 대해서는 미국 및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미국과 EU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적극적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기술경쟁력 격차를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준배기자 joo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한·중·일 업종별 수출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