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철린 산업전자부장 crwon@etnews.co.kr
목동에 대한 이솝우화가 있다. 어느날 목동은 양치는 일이 싫증나자 늑대가 나타나 양떼를 덮친다고 마을 사람들에게 거짓말한다. 마을사람들은 목동의 말을 믿고 달려가지만 정작 늑대는 없고 목동이 비웃고 있는 것이 아닌가. 목동은 재미있어 이런 일을 반복하다가 당한다는 내용이다. 진짜로 늑대가 나타나 목동이 외쳤으나 마을사람들은 또 속은 줄 알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지 않아 결국 목동은 양들을 모두 잃고 말았다.
요즈음 일고 있는 반도체 공급과잉 논쟁을 보면 우리는 늑대가 나타나기도 전에 이를 자주 외치다 손해를 본 목동의 처지와 다를 바 없다.
반도체공급 과잉논쟁이 현물시장의 반도체 가격하락과 유가급등, 포드의 대우차 인수 등 외부 악재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면서 96년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 더구나 우리 수출구조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5%에 이르고 있어 정부와 주식시장이 반도체 시장동향에 일희일비하고 있다.
미 월가의 한 애널리스트 판단에서 비롯된 반도체 공급과잉의 목소리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 정작 우리 자신만 양떼를 잃는 피해를 당하고 있다.
반도체의 공급과잉 논쟁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이미 예견됐던 일이다. 지난 96년 반도체 공급과잉이 시작되면서 95년 422억달러였던 D램시장이 98년 158억달러로 줄어들었다. 이 때 살아남기 바쁜 반도체업체들은 설비투자를 하지 못한 결과, 반사이익을 챙겼다. 인터넷 및 디지털시장으로 바람을 타고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반도체업체들은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시장논리에 따라 반도체업체들이 설비투자를 확대하자, 이제는 반도체의 공급과잉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설비투자가 완료되는 2003년쯤 가면 반도체시장이 공급부족에서 공급과잉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 상황을 세계 반도체업체들이 지나치게 많은 시설투자를 감행, 심각한 공급과잉을 가져온 지난 95년과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 1, 2위를 차지하는 삼성전자와 현대전자도 2003년에 가면 반도체 공급과잉을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95년 상황과는 다르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던 월가의 애널리스트들도 다시 자신들의 전망을 수정하기도 했다. 2003년에 가서 공급과잉이 되더라도 세계시장의 흐름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국내 반도체업체들은 나름대로 대비책을 세워놓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시장은 우리 반도체업체들을 믿기보다는 미국 월가에 너무 경사돼 있다. 미국 반도체업체들의 지수인 필라델피아지수와 동조현상마저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와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순매수가 일치한 날은 8월이후 전체영업일의 4분의 3 정도에 이르고 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7월 13일 38만8000원에서 9월 18일 19만8500원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20만원대로 올라섰다. 무려 2개월 사이에 50% 가량이 떨어졌다. 우리 반도체업체들이 고스란히 타격을 입고 있다. 반도체 공급과잉 논쟁과정에서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점이 하나 있다. 반도체 공급과잉 논쟁으로 인한 위기에서 외국인이 매도했다고 이야기한다. 실제로 따져보면 외국인 지분율에는 변동이 없다는 점이다. 외국인 지분율은 8월 25일 56.5%를 정점으로 9월 20일 현재 54.8%를 유지하고 있다. 여전히 50%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결국 반도체 공급과잉 논쟁에서 우리만 손해를 보았다. 기업의 내실가치를 보지 않고 겉으로 드러난 피상적인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 결과다.
이제 냉정하게 생각해 봐야 할 때다. 사실보다 과대포장해 반도체 공급과잉 논쟁을 증폭시키기보다는 반도체시장의 특성을 이해한다.
지난 97년을 기점으로 반도체시장의 지배구조가 과점현상을 보이고 있다. 마이크론의 TI 메모리사업합병, 현대전자의 LG반도체 합병, NEC와 히타치의 연합 등으로 상위 4개사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반도체 4개사의 점유율은 전체시장의 80%에 가깝다.
기본적으로 반도체시장은 메모리 반도체의 대용량, 고속 다양화가 급진전되면서 기술개발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 안정된 자본력을 확보한 업체만이 생존할 수 있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반도체 4개사의 물량조절 힘은 어느때보다 커졌다. 더구나 반도체 4개사는 현재 64메가 제품가격이 4∼5달러선으로 떨어지더라도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반도체의 수요도 PC일변도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디지털과 인터넷 추세속에서 PC의존도는 80%에서 75% 이하로 떨어지고 있다. 오히려 예전처럼 PC의 수요변화에 따른 공급과잉 논쟁이 줄어들 소지가 있다. 메모리업체들이 안정적인 수요구조를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반도체 시장구조가 바뀐 상황에서 이제 우리 반도체업체에 대한 애정을 보여주어야 할 때다.
이제부터라도 정부는 국민연금기금 같은 공적자금을 예산으로 전용하기보다는 안정성있고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들의 주식을 장기보유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콘텐츠칼럼]게임 생태계의 겨우살이
-
2
[ET단상] 자동차산업의 SDV 전환과 경쟁력을 위한 지향점
-
3
[ESG칼럼] ESG경영, 변화를 멈출 수 없는 이유
-
4
[ET톡]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희망고문
-
5
[ET시론]정보화 우량 국가가 디지털 지체 국가, AI 장애 국가가 되고 있다
-
6
[人사이트]박세훈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장 “국산 고성능 의족, 국내외 보급 확대”
-
7
[김종면의 K브랜드 집중탐구] 〈29〉프로스펙스, 우리의 레이스는 끝나지 않았다
-
8
[디지털문서 인사이트] AX의 시대와 새로운 디지털문서&플랫폼 시대의 융합
-
9
[기고] '티핑포인트'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경제
-
10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1〉혁신의 기술 시대를 여는 서막(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