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2000 신청업체, 대주주 지분율 왜 높이나

IMT2000 사업권 참여업체들이 대주주 지분율, 동일계열 지분율을 높이려는 이유는 의외로 간단하다.

2세대와 3세대 이동전화서비스간 기업결합·인수가 이뤄질 경우에 대비해 인수회사의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사업권 획득을 희망하는 한국통신, SK그룹, LG그룹 모두가 기존 2세대 이동전화서비스 회사를 갖고 있다. 이들 회사와 차세대 이동전화사업자를 통합할 경우 후자의 가치가 높아야 인수가 수월하다.

사업권 참여업체에 사업권은 이미 「떼어 논 당상」인 만큼 「사업권 이후」를 고민하고 있는 셈이다.

사업권 신청 희망업체들은 현재의 이동전화서비스, PCS서비스와의 망 통합이 생각보다 빠른 시일내에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IMT2000서비스가 궁극적으로 유무선을 통합하는 「행동반경이 넓은 서비스」라고 볼 때 2, 3세대 이동전화서비스의 통합은 명약관화하다. 사업권 참여업체들은 이미 무선부문 가입자수가 유선부문 가입자수를 넘어섰고 기존 무선호출 및 시티폰 등 이동통신서비스가 현재의 이동전화서비스에 밀려나는 것을 봐왔다.

IMT2000서비스는 단순한 통신사업 영역을 넘어 재계 판도를 뒤집을 만한 메가톤급 폭발력을 지니고 있다. IMT2000사업의 지분율은 곧 재계의 서열을 의미한다. 이 점을 사업권 참여업체가 놓칠 리 없다.

◇ 2, 3세대 서비스 통합대비 지분가치 제고 = 전송속도와 통화품질, 다양한 부가서비스 등이 가능한 IMT2000은 향후 5년 내에 이동통신시장에서 핵심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이르면 2003년부터 IMT2000서비스는 기존 유무선 사업분야를 아우르며 통합의 중심축으로 부상할 것이다.

이미 CT2, 무선호출 등 이동통신서비스의 붕괴가 망 진화에 따라 이뤄졌다는 점을 들어 2세대의 붕괴 내지는 3세대 이동전화서비스로의 빠른 진화는 예견돼 있다. 이 점에서 2, 3년 내에 통신시장의 중심은 IMT2000서비스로 전이되며 이 부문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것이 사업권 참여업체의 희망사항이다.

또 SK텔레콤, 신세기통신, 한국통신프리텔, 한국통신엠닷컴, LG텔레콤 등 기존 이동전화사업자들에 대한 모기업 지분이 절반에도 못미친다는 점이 이들에 대한 지분율 확대를 꺼리고 있는 대목이다.

기왕이면 대표 기업의 지분율을 높여 알찬 수익을 올리자는 것이 사업권 참여업체의 속셈인 것이다.

IMT2000서비스 실시 이후 기존 2세대 가입자를 위한 단말기보조금 지급, IMT2000서비스에 대한 요금 차별화 등이 이뤄질 경우 막강한 경쟁력을 갖춘 사업자로 성장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사업권 참여업체들은 2, 3세대 통합의 경우 3세대 중심의 흡수통합이 전제되고 이 경우 엄청난 통합비용과 통합에 따른 반발을 해소하기 위해 대주주 지분율을 높이고 있다.

대주주 지분율이 올라갈 경우 통합에 따른 주도권을 대주주가 쥘 수 있으며 소액주주의 반발도 쉽게 무마할 수 있다. 대주주 중심의 운영으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향후 사업확장 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CS사업자 선정 때와는 달리 정부가 대주주 지분율, 동일계열 지분율에 대한 제한선을 긋지 않은 것도 이들의 지분율 증가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한국IMT2000 컨소시엄이 사업권 참여를 백지화한 것도 대주주 지분율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경쟁사업자 없이 무혈입성이 가능한 상황에서 가급적인 그룹 지분율을 높여 향후 수익을 극대화하겠다는 배짱이 생긴 것이다.

이 때문에 정통부의 사업권 심사 주요 배점항목인 주요주주, 전략적 주주가 차지하는 비중도 낮춰질 전망이다.

◇ 컨소시엄 구성 기본원칙 무너져 = 사업권 참여업체의 이같은 방침에 따라 주주구성의 적정성을 가늠할 정보통신 관련 중소기업의 컨소시엄 참여폭이 상당부문 축소될 전망이다. 정보통신 중소기업, 전략적 주주구성 등은 그야말로 생색내기, 「과락」을 면할 만큼의 점수따기만으로 그칠 수 있다.

3개 사업자 선정에 3개 컨소시엄 참여라는 사상 초유의 사업권 신청사태가 벌어지면서 사업자의 경쟁구도도 느슨해졌다. 남은 것이라고는 기술표준 방식 선정뿐이다.

이 때문에 다수의 벤처기업, 중소기업을 참여시켜 경제력 집중을 봉쇄하겠다는 정부의 「컨소시엄 구성」 원칙은 유명무실해졌다. 애초에 비중있게 논의됐던 주요주주, 전략적 주주구성은 논외대상으로 밀려난 느낌이다.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측됐던 NTT도코모, BT, 재팬텔레콤의 해외 사업자 지분도 상당히 축소될 전망이다. 사업권을 딴 후에 외국업체에 지분을 팔아야 고수익을 남길 수 있다는 손익계산도 끝났다.

사업권 참여업체들이 해체를 결정한 PICCA 회원사들을 개별적으로 선별해 컨소시엄에 참여시키거나 참여 여부를 아예 부정하는 것도 정보통신 중소기업 컨소시엄 구성의 비중이 그만큼 축소됐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주주, 동일계열 포함 지분율이 높아질 경우 「재벌에 대한 경제력 집중」이라는 여론의 따가운 질책을 피하기는 어렵다.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