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만사] 탄핵 선고 지연에 공직사회 초긴장

○...탄핵 선고 지연에 공직사회 '초긴장'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지연되면서 공직사회도 초긴장. 탄핵 인용을 염두에 두고 다음 정부를 준비한다거나, 탄핵 기각을 예상하고 다시 업무에 열심히 대응한다는 등 전혀 상반된 찌라시(?)나 받글이 돌기도. 각 부처의 시급한 고위공무원 인사 등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체제에서 어느정도 일단락됐지만, 정무직 등은 민감도가 더해. 정부 교체 여부에 따라 향후 갈 수 있는 자리가 엇갈릴 수 있기 때문. 주요 기관장 인사 등은 일단 보류 상태. 공직사회 전반이 탄핵 선고 결정을 기다리며 태풍전야의 분위기.

Photo Image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법재판소가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헌법재판관들은 인용과 기각 사이 매일 평의를 열고 쟁점을 검토 중이지만 아직 최종 결론까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말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대행 체제 석 달?” 기재부 하소연


대통령과 국무총리 탄핵소추에 대한 헌법재판소 선고가 지연되면서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종료 시점도 특정하기 어려워져. 최 대행이 정치적 부담을 가지는 결정들을 잇따라 내리는 와중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대외 불확실성까지 최고조에 달하면서 기재부 업무 부담이 가중. 최 대행은 최근 한 회의에서 “행사가 많다 보니 부총리로 오는 건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오는 건지, 총리 대행으로 오는 건지 헷갈린다”고 발언하기도. 대통령과 총리 탄핵 결과와 경우의 수에 따라 3월 말~4월 초까지 대행 체제가 이어질 가능성이 커져.

○...국토부 기자단 보이콧 해프닝(?)

국토교통부가 전세사기 피해지원 현황을 올해 발표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야당의원 질의에 대해 기자단과 배포 주기를 협의했다고 답해 논란. 기자단은 이를 논의한 사실이 전혀 없었기 때문. 이에 기자단은 국토부 측에 강력 항의하고 공식 사과 전까지 행사와 자료를 모두 보이콧 하기로 결정. 국토부는 담당자 교체 후 소통이 잘못돼 해당 사태를 초래했다고 설명하고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해당 내용에 대한 정정과 기자단에 공식 사과하기로 하면서 사태는 마무리. 한편 전세사기 피해자 현황은 작년까지 한 달마다 발표했는데 올해부터는 분기에 한 번 발표로 방침을 바꾸기로 했다고.

〈세종팀〉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