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해킹 사태] 경찰, IP 추적 등 수사 본격화

Photo Image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무상 교체 2일 차인 29일 서울 서초구의 한 SKT 직영대리점에서 가입자들이 개점 전부터 길게 줄 서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경찰이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와 관련해 해커 조직 추적을 본격화한다.

경찰청 관계자는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유심 정보 유출과 관련해 SK텔레콤 피해 서버와 악성코드 등 디지털 정보를 수집해서 분석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IP 추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해킹 세력 실체는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해킹 세력을 특정하기 위해서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다양한 경로로 수사를 전개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달 23일 SK텔레콤으로부터 처음으로 해킹 피해 신고를 접수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악성코드를 설치한 해커 정체와 개인정보 유출 규모, 경로에 대해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SK텔레콤이 이용자들의 정보 관리를 소홀히 했다는 취지의 고소·고발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법무법인과 일부 시민단체 등은 SK텔레콤이 유심 관련 정보보호를 소홀히 했고, 유출 인지 후에도 신고를 늦게 했다며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등을 고발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 합동 조사단을 구성해 기술적 측면에서 이번 해킹 사태를 조사 중이다. 해커의 어떤 기술을 활용해 침투했고, SK텔레콤이 어떻게 대처했는지 상세하게 살펴 6월말 결론을 도출할 예정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SK텔레콤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