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 중 스마트도시 전담조직 운영은 20곳…AI 시대 대비는 미흡

Photo Image

서울시 자치구 25곳 중 스마트도시 전담 조직을 운영하는 곳은 20곳으로 파악됐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행정과 서비스를 혁신하려는 곳이 적지 않다는 의미다.

29일 전자신문 조사 결과 서울시 자치구 20곳이 과나 팀 단위로 스마트도시 관련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서울디지털재단 조사 당시 14곳에서 6곳이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스마트도시'라는 명칭을 조직 이름에 명확히 반영한 곳은 동대문구, 성동구, 서대문구, 은평구, 양천구, 구로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11곳이었다.

서초구는 밝은미래국 산하 스마트도시과를 두고 스마트도시기획팀, 스마트도시서비스팀, AI빅데이터팀, 정보화운영팀, 정보통신팀 등으로 세분화된 조직을 운영 중이다. 특히 AI빅데이터팀을 별도로 구성해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발굴,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하며 스마트 행정 구현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성동구는 스마트포용도시국 산하에 스마트도시과를 두고 스마트정책팀, 포용도시팀, 스마트사업팀 등을 운영하며 스마트기술을 생활 밀착형 정책에 접목하고 있다. 또 리빙랩을 통해 시민 참여형 연구와 기술 적용을 도입하고 있다.

반면, 일부 자치구에서는 스마트도시 전담 부서를 두지 않거나 기존 정보화담당 부서에서 스마트도시 관련 업무를 병행하는 사례도 확인됐다. 최근 강조되는 디지털 격차 해소 문재 역시 교육지원과 등에서 제한적으로 다루는 데 그쳤다.

특히 서초구 등 몇몇 자치구를 제외하고는 AI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는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스마트도시 전담 부서 확대는 고무적이지만, AI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대한 준비는 아직 미흡하다”며 “조직 신설과 명칭 변경뿐 아니라 구체적 정책과 계획 수립을 통해 AI 시대를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차원에서는 올해 7월 디지털정책관을 디지털도시국으로 명칭 변경하며, 디지털 및 스마트도시 전략을 총괄하는 핵심 부서로 격상시켰다. 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해 정보보안과를 분리해 독립적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전문가들은 서울시와 자치구의 스마트도시 조직 확충 노력이 타 지자체에 비해 앞서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AI 시대를 대비한 디지털 행정 준비가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AI기본법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AI가 가져오는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할 시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조직과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충고가 나온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