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 AIDT 선택은] ① 학습자 중심 수업의 기회…2022 개정 교육과정의 '실천 도구'

Photo Image
AI 디지털교과서 신청 교육현장 지원을 위한 좌담회가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민재식 교사노조 교섭실장, 조현식 부산 포천초 교사, 정제영 KERIS 원장, 조재범 한국교총 현장대변인, 안치훈 실천교육교사모임 특수정책자문위원, 도재우 공주교대 교수가 기념촬영 했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검정 절차가 오는 29일 마무리된다. 검정을 통과한 AI디지털교과서는 교원과 학부모, 학생들 앞에 첫 선을 보인다. 각 학교에서는 내년부터 사용할 AI 디지털교과서를 선정하는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교육부는 AI 디지털교과서 선정을 돕기 위해 학교 현장에 전시회와 체험 연수를 실시할 계획이다. 각 학교는 초중등교육법과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라 AI디지털교과서를 필수적으로 선정해야 한다.AI 디지털교과서가 현장에서 안착하고, 수업 혁신을 이끌려면 각 학교의 교육과정 목표에 부합하는 교과서가 선정돼야 한다.

전자신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함께 'AI 디지털교과서 선정 관련 현장 의견 수렴 간담회'를 열고 학교의 상황에 맞는 좋은 AI 디지털교과서를 고르기 위한 기준을 모색했다.

좌담회는 정제영 KERIS 원장을 좌장으로 교사노동조합연맹 민재식 교섭실장, 실천교육교사모임 안지훈 특수정책자문위원, 한국교총 조재범 현장대변인, 터치교사단 조현식 부산 포천초등학교 교사, 공주교대 도재우 교수가 참석했다.

Photo Image
정제영 KERIS 원장

△정제영(좌장)=AI디지털교과서 검정 절차가 막바지다. AI디지털교과서가 공교육 현장의 변화에 미치게 될 영향이 교과서 선정의 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큰 틀에서 AI디지털교과서에 어떤 기능이 학생과 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조재범=AI디지털교과서는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다. 교사가 중간에 편집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수업 계획의 유연성이 높아진다. 업무 경감 부분에서는 평가, 채점 등 일상적 업무를 AI보조교사가 도와주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학생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흥미를 유발 시키는 학습 환경을 제공해 상호작용이 강화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조현식=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과정중심평가는 그 동안 학교 현장에서 하기를 원했지만 환경이 구축되지 않아 하지 못했던 부분이 컸다. AI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은 선생님들에게 부담이었던 과정중심평가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지금은 교사 혼자 한 개 차시 수업을 진행하다보면 학생 개인별로 일일이 지도하는 건 한계가 있다. AI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은 개별화 교육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개별화 교육이 이뤄지면 수준에 맞는 과제를 부여받고, 학습 실패 경험을 쌓기보다 문제 해결 경험을 쌓으면서 의욕이 생기고 자기주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Photo Image
도재우 공주교대 교수

△정제영=내년에는 2022 개정 교육과정도 전면 도입된다. 교육과정에 맞는 교과서를 선택하는 것은 학교 입장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학교 현장의 큰 변화에 대해 AI디지털교과서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나?

▲도재우=AI디지털교과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실천을 도와주는 도구다. 디지털 소양과 맞춤형 교육 실천, 학생 맞춤형 평가와 에듀테크 역량 강화 등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이미 포함된 사항들이다.

AI디지털교과서가 없다면 선생님들은 오히려 더 고민하실 수 있다. 교사 개인이나 한 학교만의 노력으로 학생의 사전 학습 수준을 진단하려 했다면 외부의 에듀테크를 써도 될지부터 고민해야 했을 것이다. AI디지털교과서는 공교육에서 검인정을 받은, 신뢰할 수 있는 도구가 들어오는 것이다. 써야만하는 도구가 아니라 '실천하는 도구'라고 생각한다.

▲안지훈=2022 교육과정은 교사의 주도성과 학생 주도성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AI디지털교과서를 선정할 때도 이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과 성취 기준을 구현했는가를 평가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각 학생의 학습 속도가 다르고 선호하는 학습 방식도 다르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