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말까지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젝트의 최소 30%가 중단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영업비용 상승, 불분명한 비즈니스 가치 등이 그 이유다.
29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가트너 데이터&애널리틱스 서밋 행사에서 이같이 주장하며 “많은 조직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지만 투자수익률(ROI)을 내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트너는 생성형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사업을 5가지로 분류했다. △코딩 등 업무를 지원하는 '상업용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앱)' △개인화된 콘텐츠 제작 앱과 같은 맞춤형 앱에 사용되는 생성형 AI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검색증강생성(RAG) 검색 등 데이터 검색을 통한 생성형 AI 모델 △버티컬 AI 등 파인튜닝(미세조정)을 거친 AI 모델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한 사전학습 모델 등이다.
이용자 1명으로 인해 매년 드는 비용만 해도 1만1000달러(약 1500만원)에서 2만1000만달러(약 2900만원)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구동에 들어가는 비용이 “눈물 날 정도”로 비싸다고 고백한 바 있다. 챗GPT 검색 1회당 답변에 드는 비용은 10센트(약 140원) 정도로 알려졌다.
리타 살람 가트너 부사장 겸 수석 애널리스트는 “생성형 AI 프로젝트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생성형 AI 모델 개발·배포에 대한 기업의 재정적 부담이 점점 더 커지는 추세”라며 “게다가 생성형 AI 사업에 드는 비용은 기업별 투자비용, 사용 사례, 배포 방식 등 변수가 많아 다른 사업에 비해 예측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살람은 “생성형 AI 사업 성과가 기대에 못 미쳐 대안을 모색해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