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C, 2월 매출 전년比 65%↑
TSMC 협력·美 팹리스 개발 수혜
韓, 영업익 부진…적자 폭 커져
상섬 파운드리 수주에 상황 달려

대만 1위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글로벌유니칩(GUC) 실적이 급등했다. 반도체 경기 침체 속에서도 이례적인 매출 증가세를 기록, 최근 실적 둔화가 예상되는 국내 디자인하우스와 대비된다. 디자인하우스는 반도체 팹리스와 파운드리 간 가교 역할을 하는 설계 지원 업체를 뜻한다. GUC는 TSMC와의 협력 생태계를 구축, 이 분야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GUC는 지난달 매출 약 22억4800만대만달러(약 964억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65.2% 증가한 실적이다. 1월 매출도 20억8700만대만달러로 26.8% 성장률을 달성했다. 반도체 산업이 역성장을 기록하며 한파를 겪는데도 GUC 실적은 상승했다.
GUC는 작년에도 매출 240억4000만대만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1조원을 돌파한 성적표를 받았다. 전년 대비 60% 가까이 늘었다. 국내 선두권인 에이디테크놀로지(1642억원)와 코아시아(4636억원)를 합친 실적을 훨씬 웃돈다. 국내 업체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는 양상이다. GUC 지난해 영업이익은 40억9900만대만달러(약 1759억원)로 전년 대비 145% 급등했다.
최근 TSMC가 5·7나노 등 첨단 공정 매출 비중을 늘리면서 GUC가 얻는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GUC의 지난해 4분기 5·7나노 설계 지원 매출 비중은 29%로, 전분기 8%보다 비약적으로 늘었다. 또 미국 매출 비중이 증가했는데 미국 팹리스의 신규 칩 개발 수혜를 톡톡히 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국내 주요 디자인하우스는 실적 위기감이 크다. 순수 디자인하우스 사업으로 국내 1위인 에이디테크놀로지는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9%, 61%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에이디테크놀로지는 “전기 대비 주요 매출처 매출액 감소와 반도체 시황 악화에 따른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가온칩스는 지난해 매출 433억원으로 전년 대비 34.3% 증가했지만 엔지니어 인력 확보에 따른 고정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37.1% 감소했다. 코아시아 역시 매출은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24억원 적자로 전년 대비 적자 폭이 커졌다. 이들은 모두 삼성전자 협력 디자인하우스(DSP)다. 삼성 파운드리 수주 상황이 디자인하우스 업체 실적에 반영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디자인하우스 관계자는 “삼성 협력 디자인하우스가 첨단 공정 진입을 위해 작년 대규모 인력 확보에 나선만큼 단기간 영업이익 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단순 초기 개발(NRE) 지원뿐 아니라 공정 설계 지원 및 테스트 등 턴키 사업을 늘려 수익성을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