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기업, 각계 전문가가 힘을 모으는 '산업혁신' 협의체가 출범했다. 업계는 근로시간 단축 시행에 따른 어려움을 비롯해 각종 규제 개선을 건의했다. 정부는 민간 투자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1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민간기업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산업혁신 2020 플랫폼'을 발족하고 신산업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플랫폼은 전기·자율주행차, 에너지, 반도체·디스플레이, IoT 가전, 바이오·헬스 등 5대 신산업에서 2020년까지 국민이 체감할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다. 민간과 정부, 전문가 등이 참여해 실천전략을 수립하는 민관 협의체다. 신산업 분야 주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대표,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컨설팅과 학계 전문가,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등 30여명이 참여했다.
이날 참석한 기업인은 백운규 산업부 장관에게 건의 사항을 쏟아냈다. 활발한 토론으로 당초 예정됐던 행사 시간을 1시간 가까이 넘겼다.
기업인은 근로시간 단축 시행에 따른 어려움과 각종 규제, 신산업 표준 선점 및 상생 협력 필요성 등을 언급했다. 전기·자율차 등 자동차 신산업과 관련해서는 탄탄한 부품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백 장관은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해 “이제는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에 맞는 선진국형 근로 형태를 만들어야 한다”면서도 “기업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실태조사를 해 하반기에 보완할 부분은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또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것은 결국 기업인이므로 앞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듣는 기회를 갖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참석자는 2022년까지 계획을 담은 '신산업 프로젝트 투자·일자리 로드맵'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5개 분야 기업으로부터 향후 5년간 투자계획을 취합한 결과, 최대 160조원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5년간 일자리 약 20만개, 올해에만 약 2만7000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별 투자액 및 일자리 창출 효과는 전기·자율주행차 34조2000억원(1만8200명), 에너지 44조8000억원(14만9200명), 반도체·디스플레이 60조1000억원(8500명), IoT 가전 10조9000억원(1만6100명), 바이오·헬스 7조5000억원(5200명)이다.
< 신산업 분야별 향후 5년간 투자〃 일자리 >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