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갤럭시S8 홈버튼 숨기려면 어떤 기술 필요할까

삼성전자는 갤럭시S8에서 전면 홈버튼을 없앨 것으로 알려졌다. 지문인식과 메인화면 복귀를 위한 물리 형태의 버튼이 사라진다. 이렇게 되면 스마트폰 전면은 디스플레이로 채워진다. 몰입감과 디자인 개선 효과가 크다.

문제는 지문인식이다. 메인화면 복귀 정도야 가상 버튼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문인식은 물리 형태로 돌출된 인식부를 필요로 했다. 전면에 홈버튼을 없앨 경우 지문인식 모듈은 주로 후면에 배치됐다. 이와 달리 갤럭시S8에서는 전·후면 모두에서 지문인식부가 사라진다.

삼성전자가 `홈버튼 없는 지문인식`을 위한 기술로 무엇을 채택할지 관심이 쏠린다. 강화유리 일체형 지문인식, 디스플레이 일체형 지문인식, 초음파 기반 지문인식이 주요 기술로 거론된다. 이들 기술은 디스플레이나 강화유리 속에 인식부를 감출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물리 형태의 버튼이 필요 없다.

Photo Image
크루셜텍이 개발한 `언더글라스 BTP`

강화유리 일체형 지문인식은 `언더글라스`로도 불린다. 유리 뒤쪽에서 지문을 인식하도록 했다. 유리 하단 뒷면의 일부에 홈을 파고 센서를 넣는 구조다. 지문 인식 기본 원리는 기존과 같은 정전용량식이다. 센싱 기술과 가공, 결합 공법 발전에 따라 탄생했다.

Photo Image
아사히글라스가 개발한 커버글라스 동작 개념도. 특수 가공을 통해 유리 아래에서도 지문인식센서가 작동케 했다.(자료: AGC아사히글라스)

현재 가장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크루셜텍과 LG이노텍이 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의 한계는 여전히 인식부를 표시해 줘야 한다는 점이다. 돌출된 버튼은 필요하지 않지만 유도선이 필요하다. 센서가 어느 곳에 위치했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줘야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

이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디스플레이 일체형 지문인식이다. 강화유리가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와 지문인식부를 통합했다. 이 경우 스마트폰 앞 화면 어디에서나 지문인식이 가능하다.

특정 영역에서만 지문을 인식하지 않아도 된다. 인식부를 알려주는 유도선도 필요 없다. 화면을 만지기만 하면 스마트폰이 주인을 알아보고 잠금을 해제하는 사용자경험(UX)이 가능하다. 디자인은 물론 사용성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Photo Image
초음파 기반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한 샤오미 미 5S

초음파 기반 지문인식도 최근 주목받는 기술이다. 퀄컴이 개발한 `스냅드래곤 센스ID 3D`가 대표 사례다. 초음파를 이용해 지문의 고유 패턴, 굴곡, 땀구멍까지 3차원(D)으로 인식한다. 기존의 정전용량식 지문인식은 2D 이미지를 스캔해 인식하는 것이 기본 원리다. 스냅드래곤 센스ID는 샤오미가 플래그십 스마트폰 `미(Mi) 5S`에 최초로 채택했다.

Photo Image

초음파 지문인식의 또 다른 특징은 투과성이다. 초음파는 유리, 알루미늄,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소재 대부분을 투과할 수 있다. 즉 센서를 이들 소재 밑에 꽁꽁 숨겨 놓아도 인식에 지장이 없다는 뜻이다.

삼성전자가 갤럭시S8 홈버튼을 어떤 식으로 없앨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관련 기술은 이미 무르익었다는 평가다. 특히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 초음파 기반 지문인식은 이미 상용화 사례까지 나왔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지문인식은 편의성이 높지만 아직 상용화에는 이르다”면서 “현재로서는 글라스 일체형이나 초음파 기반이 가장 근접한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