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국내 기업 생존 방안은 ‘공공 분야’

Photo Image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아마존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토종 클라우드 서비스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미 클라우드 산업 주도권을 잡을 ‘골든 타임’을 놓쳤다는 목소리도 크다. 아마존을 포함한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에 비해 자본·영업·인지도 등 경쟁력이 부족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가 성장하기 위해 공공 시장이 열려야 하지만 법·제도적 장벽을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글로벌 시장뿐 아니라 국내 클라우드 시장 장악에 나섰다. 세계 최대 규모 인프라를 운영하고 파트너십을 통한 강력한 에코시스템을 구축해 민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이동통신사를 제외하고 아마존과 견줄 만한 IT 인프라와 마케팅 능력을 확보하지 못해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민간 시장에서는 이미 공략 시기를 놓쳐 공공분야를 기반에 두고 자생력을 갖춰야한다는 지적도 있다. 국내 한 클라우드 기업 대표는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 다년간 클라우드 서비스 경험과 노하우를 쌓은 아마존과 직접 경쟁하기 힘들다”며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통해 구축사례(레퍼런스)를 만들고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간 시장을 잠식하는 아마존과 겨루기보다는 공공 시장을 통해 자생력을 갖춰 서비스 품질과 기술력을 확보하자는 전략이다.

공공 분야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의 활로가 될 수 있지만 제도적 한계로 스스로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 2012년 국가정보원이 정부부처와 일부 국립대학에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금지를 권고하면서 불거진 논란은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클라우드 발전법)’ 제정 이슈로 최근까지 이어졌다. 공공 데이터와 국가 기밀 등이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의 데이터센터에서 관리되면 안 된다는 국정원의 인식에 공공에서는 클라우드 도입을 망설이는 상황이다.

송희경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은 “현실과 괴리된 공공의 정보보호 규정으로 클라우드 경제성을 상실하고 있다”며 “국내 클라우드 기업이 사업 기회를 잃지 않도록 서비스 유형에 적합한 기준을 만들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