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기술 R&D 국제협력 `더 넓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국내 산업계와 함께 연구할 뜻이 있는 해외 한인 과학기술자를 조사했더니 87명이 127건을 접수했다. 정보통신기술(ICT)·나노기술(NT) 융합, 반도체, 소프트웨어, 이동통신, 홈네트워크 등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당장 필요한 기술들에 수요가 몰렸다.

고무적인 현상이다. 캐나다·독일·미국·일본 내 120개 산학연에서 일하는 과학기술자와 국내 기업이 유기적 관계를 맺어 좋은 성과를 얻기를 바란다. KEIT에는 이 사업 목표인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에 걸맞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데 전력을 쏟으라고 주문한다. 이번 조사에서 중개자 역할을 한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한국생산기술연구원미주사무소·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와 함께 공동 연구개발(R&D) 애로를 세심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KEIT는 원천기술개발에 이어 부품소재기술로 해외 과학기술 R&D 협력망을 넓힐 계획이다. 옳은 방향이다. 지난해 지식경제부 R&D 사업 가운데 해외 기관·기업이 참여한 게 94건으로 전체(2224건)의 4.2%에 불과했다. 해외 공동 R&D 비율이 22%에 달하는 핀란드나 14%인 스웨덴보다 크게 낮다. 독일과 영국도 각각 11%, 8%에 달했다.

이런 수치는 우리 R&D 체계가 `우물 안`에 머물고 있음을 방증한다. 지원 대상을 굳이 해외 `한인`으로 제한할 이유는 또 무엇인가. 협력 대상을 더 넓히는 게 좋겠다. 나라는 물론이고 한인 과학자인지 아닌지를 가릴 이유가 없다. 1960년대 초부터 20세기 말까지 시행한 `해외 한인 과학자 국내 유치사업`은 그 시절에 걸맞은 프로젝트였다. 이젠 우리가 해외 공동 R&D를 주관할 때도 됐다. 국적과 관계없이 배울 건 배우고, 이끌어 줄 건 이끌 때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