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영상 “연내 멀티모달·추론형 AI 모델 개발”

Photo Image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MWC25 기자간담회에서 AI사업 고도화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김민수 mskim@etnews.com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4일 인공지능(AI) 수요자와 공급자 역할을 융합한 진정한 AI 컴퍼니로의 가시적 성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이날 사내 인트라넷에 'SK텔레콤의 르네상스를 위하여'라는 글을 올리며 올해 사업 전략을 공유했다.

유 대표는 “글로벌 통신사들은 대부분 네트워크에 AI를 도입해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수요자로서의 AI'에 관심이 많다”면서 “지금은 문제를 풀기 위해 임시적으로 수요자 관점과 AI를 통한 신성장을 노리는 '공급자로서의 AI'를 인수분해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둘을 융합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사업을 통한 가시적 성과를 창출할 영역으로 '서비스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 분야를 꼽았다.

유 대표는 “람다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GPUaaS는 작년 12월 가산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빠른 매출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며 데이터센터(DC)가 빨리 필요한 수요자를 위한 '모듈러 DC', 보안을 목적으로 하나의 수요자에 최적화된 DC, 초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등 맞춤형 상품을 내놓겠다고 했다.

미국 출시를 준비 중인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의 베타 서비스 출시와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A.X) 4.0 개발도 마무리 단계다. 에이닷엑스 4.0이 글로벌 주요 LLM에 못지않은 성능을 가지면서도 효율이 높은 한국어 특화 LLM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내 멀티모달 AI 모델, 추론 모델 개발 계획도 내놨다.

유 대표 “앞으로 더 치열하고 단단하며 유연한 SK텔레콤만의 문화와 일하는 방식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성과를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