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국부는 기업이 창출… 국가 단위 투자·협력 반드시 필요”

Photo Image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비전 발표를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 선거에 도전장을 던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가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비전발표에서 국가 단위의 투자를 강조했다. 아울러 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통한 경제 위기 극복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 후보는 “모방한 기술로 이룩한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스템을 '주도적인 기술'로 대체해야 한다.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기적의 나라 대한민국은 약육강식의 세계질서와 격랑의 인공지능 첨단과학 시대조차 극복하며 세계의 표준으로 우뚝 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인공지능(AI) 등 첨단과학 기술을 미래 산업 육성 동력으로 제시했다. 특히 전 세계적인 경쟁에 발맞춰 이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비전발표 이후 취재진과 만나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첨단 과학 기술의 새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면서 “경제는 국가 단위 경쟁을 넘어서 이제 국가의 경계가 사라졌다. 이젠 기업도 국가 내 대기업으로는 안 되고 글로벌 기업으로 초거대 자본력과 기술력이 필요하다.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렵다”고 했다.

특히 “기술 투자, 연구개발, 인재 양성 등 개별 기업 단위가 감당하기 너무 어렵다. 국가 단위가 관여하는 지원과 투자·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결국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기업 활동 촉진을 위한 국가의 투자로 생긴 부의 재분배 문제도 중요하다고 했다. 이는 이 후보가 민주당 대표 시절 언급했던 이른바 K-엔비디아 등을 의미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주도 투자를 통해 기업 활동을 돕고 이를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해 국부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 후보는 “기업들이 조금 더 공익적이고 합리적으로, 기업활동으로 생기는 이익을 독식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많은 사람들과 나눌 수 있어야 한다”면서 “특정 창업 기업이 다른 나라에 인수·합병되는 것보다 국내에서 흡수되는 게 훨씬 낫지 않겠냐 그런 논란이 있었다. 그런 기회를 국민이 함께 나누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경제 패러다임의 상황이 많이 변해서 정부의 역할이 많이 중요해지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경선캠프 1차 인선을 발표했다. 선거대책위원장에는 윤호중 의원이 선임됐다. 총괄본부장은 강훈식 의원이 맡았다. 박수현 의원은 공보단장을, 상황실장에는 한병도 의원을 임명했다. 아울러 정책본부장은 윤후덕 의원이, 정무전략본부장은 김영진 의원이 담당한다. 또 이해식 의원은 비서실장을, 강유정 의원은 대변인을 맡았다. 토론본부장은 이소영 의원을 지명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