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7/06/news-p.v1.20230706.02d183acc8374fc59465749f8ca3933e_P1.jpg)
전세계 해역을 누비며 해저에너지자원 탐사를 수행할 6926톤 바다 위 연구소, 최첨단 3D·4D 물리탐사연구선 '탐해 3호'가 바다 위에 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HJ중공업(대표 유상철)은 6일 부산 HJ중공업에서 탐해3호 진수·명명식을 가졌다.
탐해3호는 총 사업비 1868억에 이르는 대규모 연구개발(R&D) 기반구축사업으로 건조된다. 산업부 지원에 힘입어 건조가 순조롭다.
탐해 3호는 △해저지층구조 및 해저자원 유망지층, 부존 특성 등을 파악하는 3D 해저물리탐사 △지층 변화 탐지에 따른 석유가스 분포 규명, 이산화탄소 해저지중저장소 선정을 위한 해양 탄성파 4D 탐사 임무를 수행한다.
탐해 2호보다 4배 넓은 면적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6㎞ 길이, 8조 규모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를 장착했다. 북극 등 극지 탐사를 위한 내빙 및 동적위치 제어기능도 탑재했다. 다른 종합과학연구선 대비 탐사장비 비율이 10~30% 수준, 물리탐사선 대비 50% 높다.
이런 탐해 3호를 활용해 대륙붕 및 극지로 해양자원개발 영역을 넓혀 지구물리탐사 신기술 개발, 국내외 석유가스 및 광물자원 확보가 예상된다.
태평양 전역 해저퇴적물 희토류 매장 정보를 확보하고, 희토류 자원개발 정밀탐사 후보지를 선정해 향후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탐해 3호는 2024년 4월 공식 취항할 예정이다. 최근 미국 지질조사소(USGS)와 협력, 국제해저지각시추사업(IODP) 탐사, 북극해 공동탐사 등 해저자원 개발 및 연구 논의도 활발하다. 특히 해저물리탐사 관련 외국기관과 민간기업체에서 탐해3호 임대 및 활용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평구 원장은 “탐해 3호가 대한민국 해저에너지자원 탐사 기술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과학기술 국가대표급 바다 위 연구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