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R&D AI 중심 공격적 투자 확대…기술사업화에도 집중

Photo Image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투자의 청사진이 마련됐다. 인공지능(AI) 중심의 공격적 투자 확대와 함께 R&D 성과의 직접적 파급효과를 위한 기술사업화 등에 투자가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8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2026년도 국가R&D 투자방향 및 기준 등을 심의·의결했다.

내년도 국가 R&D 중점 투자방향으로는 핵심 성장동력 집중 육성과 R&D 성과의 직접적 파급효과 극대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등이 포함됐다.

미래 경제·산업 전반에 혁명적 변화를 일으킬 혁신적 게임체인저 기술 가운데 특히 AI를 중심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확대한다. 민간이 하기 어려운 차세대 기술 탐색과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기 위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주력산업 분야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며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초격차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적극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R&D 성과의 기술사업화 등 스케일업 투자도 확대한다. 원천기술과 산업화 사이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구축해 대형성과 창출을 총력 지원하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 혁신 선도기업에 대해 선별적·집중적 지원으로 첨단 신사업 전환을 촉진한다.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최고급 과학기술 인재 확보를 위해 국내외 인재를 적극 육성·유치하고, 이들이 국내에 정착해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전주기 지원도 강화한다. 특히 인력 확보가 시급한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현장밀착형 고급인재 육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선도형 정부 R&D 투자시스템 고도화도 함께 추진한다.

신속하고 유연한 R&D 추진을 위해 R&D 예비타당성조사 폐지 완수, 수의계약을 통한 연구장비 신속 도입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한다. 치열한 기술경쟁에 범부처 '원팀'으로 총력 대응하는 부처협업 R&D 사업도 대폭 확대한다. 민·관 협력을 위한 소통 채널을 강화하고, 대규모 혁신펀드로 민간투자 재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도 투자방향은 정부 주요 정책과 관련 부처 투자우선순위 의견을 바탕으로 마련됐으며, 연구 주체별 및 기술 분야별 간담회, 대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수렴된 연구 현장 의견도 반영했다.

향후 기획재정부 및 관계부처에 통보돼 내년도 정부 R&D 예산편성의 기본 지침으로 활용된다.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내년도 투자방향에 맞춰 각 부처에서 효과적이고 실행력 있는 사업을 계획, 필요한 예산을 요구해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