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과 함께 2031년까지 반도체 산업인력 약 3만6300명 양성을 추진한다. 대학정원 확대, 학사인력 양성, 전문인력 배출, 실무인력 육성 등 반도체 전 주기에서 인력 양성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반도체 장비업체와 연계한 계약학과가 이번에 신설될 전망이다.
정부는 13일 발표한 'K-반도체 전략'에서 대학정원 확대와 학사에서 석·박사, 실무교육 등 전주기 지원으로 2031년까지 반도체 산업인력 약 3만6300명을 육성한다고 밝혔다. 각각 대학정원 1500명, 학사인력 1만4400명, 전문인력 7000명, 실무인력 1만3400명을 양성한다.
우선 대학정원을 확대해 1500명을 배출할 계획이다. 대학내 학과 정원을 조정하고, 부전공과 복수전공을 활성화해 반도체 정원을 150명 확대한다.
학사인력 1만4400명을 양성하기 위해 전공트랙과 반도체 장비 기업과 연계한 계약학과 5개교를 신설한다. 전자와 컴퓨터공학 등 시스템반도체 관련 학과 3학년 학부생 대상 참여 학생을 선발하고, 2년간 주전공·시스템반도체 연계 과정 이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전문인력 7000명을 배출하기 위해 산·학연계형 교육 프로그램을 신설,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2023년에서 2032년까지 3500억원을 투자하는 '민·관 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을 신규 예타사업으로 기획한다.
실무인력 1만3400명을 배출하기 위해 반도체 설계·공정 관련 실습 인프라를 확대한다. 설계 분야에서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 기능을 확대하고, 대학 내 반도체 인프라 구축과 실무교육 제공을 추진한다.
핵심인력 유출 방지를 위해 반도체 인력관리 방안도 강화한다. '반도체 명인'을 신규 지정하고, 직무발명보상 내실화, 반도체 훈·포장 격상 등 핵심인력 포상을 확대한다. 퇴직인력 지원을 위해서는 첨단기술분야 특허심사관, 연구개발(R&D) 특임교수 등으로 채용을 확대, 재창업을 지원한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정부의 반도체 인력 양성방안에 대해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또 중견기업이 많은 '소부장' 기업 신입사원에 대한 개인세제를 감면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상진 명지대 교수는 “정부가 과거 기술개발 프레임을 벗어나 시설투자, 기술개발, 인력양성 종합적인 시각에서 반도체 산업을 재조명한 것은 이례적인 결단”이라면서 “소부장 기업에 입사하는 신입사원에 대한 개인세제 감면을 통해 대기업과 임금격차를 줄이는 정책을 시행하고, 소부장 기업 고급인력 유치 또한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강해령기자 k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