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 2B호' 목표 정지궤도에 안착 성공...이달 중 상태점검 마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환경부(장관 조명래),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정지궤도복합위성(천리안위성) 2B호'가 지난 6일 오후 7시30분경 목표 정지궤도 안착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목표궤도 고도는 3만5786㎞, 경도는 128.25도다.

지난달 19일 발사 성공한 천리안위성 2B호는 20~26일 7일간 총 5회 궤도변경 과정을 거쳐 최초 타원형 전이궤도에서 고도 3만5680㎞, 동경 118.78도 원형 정지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27일부터 3월 6일까지 9일간 동경 128.25도 목표 정지궤도로 이동해 안착에 성공하였다. 이 궤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가까운 적도상공 정지궤도이다.

천리안위성 2B호는 세계 최초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주간 상시 관측할 수 있는 초분광 환경탑재체와 천리안위성 1호보다 한층 향상된 해양탑재체를 장착하고 있다.

Photo Image
천리안위성 2B호 목표 정지궤도

환경탑재체는 화석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등 미세먼지 유발물질들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산란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초분광 기술로 미세먼지를 관측한다. 초분광 관측 장비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미국이 공동 개발했으며,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농도 산출 알고리즘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천리안위성 2B호는 2022년 발사될 미국위성, 이듬해 발사될 유럽 위성과 함께 전지구적 환경감시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아시아 지역 국가에도 대기환경 정보를 제공해 국제사회에 기여할 예정이다.

해양탑재체는 적조, 기름유출 등 해양오염물질과 해무·해빙, 염분농도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고해상도 광학 카메라로 상시 관측한다. 이 관측자료는 해양오염물질에 의한 해양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활동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천리안위성 2B호는 3월중에 위성본체 및 환경·해양탑재체 상태점검을 마치고, 4월부터 서비스 개시 전까지 환경〃해양탑재체 산출물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정밀 보정과정을 수행할 계획이다.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정보는 2021년부터, 해양 정보는 2020년 10월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천리안위성 2B호가 목표 정지궤도 안착에 성공하면서 발사에 최종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기아나 우주센터에서의 발사 관리에 이어 정지궤도 안착까지 열정과 성의를 다해주신 현장 연구자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천리안위성 2B호가 국민 기대에 부응하는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