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취업자가 지난해 동월 대비 28만1000명 늘었다. 1년 5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올 상반기 월평균 취업자 증가폭도 20만7000명으로 정부 연간 목표치를 조금 넘었다. 나름대로 선방했다고 위안으로 삼을 수도 있지만 최근 상황을 볼 때 걱정이 앞선다.

취업자 수, 고용률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동시에 실업자·실업률는 상승했다.

6월 실업자 수는 113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0만3000명 늘었다. 지방직 공무원 시험일이 6월로 밀리면서 응시생이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실업자로 분류된 영향이 있지만 6월 기준 실업자는 20년 만에 가장 많다. 실업률도 4.0%로 같은 기간 0.3%포인트(P) 올랐다.

가장 큰 문제는 우리 경제의 허리인 30~40대의 취업자 감소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 취업자가 계속 줄고 있다는 점이다.

6월 30대와 4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각각 3만2000명, 18만2000명 줄었다. 특히 40대 취업자 감소폭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6월 제조업 취업자도 지난해보다 6만6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는 지난해 4월부터 15개월째 이어졌다.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 전기장비 등에서 주로 제조업 취업자가 줄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통상 제조업, 특히 전자부품이나 전기장비 분야는 양질의 일자리로 꼽힌다.

문제는 최근 일본의 대 한국 수출 규제로 우리 반도체 산업이 타격을 받고 있어 해당 부문의 취업난은 더욱 심화될 우려가 크다.

이런 상황임에도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최근 고용이 개선되고 있다는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양질의 일자리인 제조업이나 경제 중심인 30~40대 취업자 감소는 안 보이거나 보기 싫은 것 같다. 늘어난 일자리조차 정부 재정 지원 사업에 의존한 게 상당수인데도 말이다.

현재 고용 상황이 지난해보다 좋아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일시적 대책이나 좋은 지표만 내세우는 막연한 기대로는 근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물론 정부가 나서 위기를 조장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국민은 명확한 현실 인식을 하지 못하는 정부를 바라보는 것에서 더 큰 위기를 느낀다. 위기 대처는 명확한 현실 인식에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