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물류로봇으로 특화해야...항공, 항만, 육상 모두 갖춘 입지조건"

Photo Image
인천시는 인천 로봇산업,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청라 로봇타워에서 로봇산업 발전 토론회를 개최했다.

인천시가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물류로봇에 특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세웅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로보틱스연구센터 팀장은 4일 인천 청라국제도시 로봇타워에서 열린 '인천 로봇산업 발전 토론회'에서 “인천시는 항공, 항만, 육상 물류 3가지를 모두 갖춘 입지조건”이라면서 “항만, 공항 등에서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관련 기관과 기업 유치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물류과정은 입고, 이송, 적재·피킹·분배, 검수, 포장, 출고로 구분된다. 물류로봇은 상품 입고에서 이송 과정에서 주로 쓰인다. 이송과정은 아마존이나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에서 도입했다. 딥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AI) 피킹 이동매니플레이터 기술을 적용해 적재·피킹·분배하는 기술개발이 한창이다.

전 팀장은 “물류로봇이 발전하면 일자리를 빼앗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서도 “하지만 검수, 포장 과정은 여전히 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인천시가 인력 수급이 용이해 물류분야가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자체별 로봇산업 육성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도는 부품·AI에 특화됐다. 경남은 자동화 기계, 대구는 로봇인증·창업, 부산은 해양, 광주는 헬스케어에 초점을 맞췄다. 아직 물류분야에 특화한 지자체는 없는 실정이다.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로봇산업 관련 기업은 2191개사다. 매출액은 5조5255억원, 인력은 2만9000명 수준이다. 인천시는 사업체 107개로 6위, 매출 3000억원으로 5위, 인력 1343명으로 5위로 중위권 수준이다. 지난 2012년 인천 로봇랜드 조성실행계획이 승인돼 1단계로 로봇타워와 로봇R&D센터를 준공, 운영하고 있지만 전체 계획은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지난해 11월 조성실행계획을 변경 신청했다.

인천시는 '인천 로봇산업 혁신 비전'을 내놨다. △국내 대표 로봇 생태계 조성 △로봇기업 혁신성장 지원 △로봇문화 정착·확산 △특화 로봇분야 발굴 및 집중 육성 △로봇산업 지속 육성 위한 지원체계 구축 등이 골자다. 향후 5년간 840억원이 들어간다.

신남식 인천시 신성장산업과장은 “물류와 엔터테인먼트 등 특화 로봇 분야를 발굴해 제품화부터 사업화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근식 인천테크노파크 로봇산업센터장은 “그동안 인천만의 특화분야가 논의는 무성했지만 구체화되지는 못했다”면서 “특화된 로봇이 조기에 클러스터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