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5G-V2X 연구반 출범은 5G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커넥티드카 기술에 대한 범정부 협의 체계가 본격 가동된다는 의미다.
5G-V2X 연구반 출범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5G 기반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기술표준과 주파수 등 의사결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기술표준 서둘러야
5G-V2X 연구반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어떤 기술표준을 채택할 지 명확한 합의가 필요하다. 글로벌 시장 동향을 고려하되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가급적 빠른 방향성을 설정해야 산업계가 대응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연구반 출범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는 통신과 자동차를 접목한 차세대 교통 서비스와 관련해 5G 기술 도입과 연구가 필요하다는데 대해 확고한 공감대를 표시했다. 하지만 국민 안전을 온전하게 책임질 전국 도로망에 상용화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미묘한 의견 차이가 있다.
이동통신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폭넓은 시범사업을 바탕으로 5G-V2X 적용에 무게를 싣는다. 반면에 국토부는 안전성이 최우선이며 이미 부분 상용화가 이뤄진 경쟁 기술 '웨이브'도 신중하게 검토하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흐름을 비춰볼 때 연구반을 통해 결론을 서둘러야 한다.
유럽연합(EU) 의회는 13일 차세대 차량통신기술을 결정하는 투표를 한다. 단거리 차량통신에는 '웨이브', 장거리 구간에는 이동통신(3G·4G·5G) 기반 'C-V2X'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찬·반을 결정할 계획이다. 미국은 연방통신위원회(FCC)를 중심으로 웨이브 방식을 추진하다가 C-V2X를 고려해 결정을 유보하고 있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5G-V2X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흐름을 반영하되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주파수 결정…민간의견 수렴 필수
기술표준과 더불어 무선통신 핵심 자원인 주파수와 관련해 용도 결정이 필요하다.
글로벌 시장에서 C-V2X 진영과 웨이브 진영은 5.9㎓ 대역 주파수를 놓고 격돌하는 실정이다. 주파수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현재까지는 5.9㎓를 기술 중립적인 비면허 대역으로 활용중이다. 5.9㎓ 대역 7개 채널(70㎒폭) 중 일부를 웨이브로 사용하고 2개 채널은 5G-V2X(C-V2X) 용도로 분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범정부 5G-V2X 연구반 역시 주파수 문제를 중요한 의제로 놓고 검토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각 부처 문제의식과 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5.9㎓ 용도를 합리적으로 분배하는 일은 커넥티드카 기술 상용화를 위한 핵심 요건이다.
논의 과정에서 민간 기업 의견을 고려하는 일은 필수다.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국민의 생명을 보장하고 산업 활성화 계기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을 판매할 기업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
전문가는 산업 생태계 측면과 기술진화 가능성을 고려할 때 웨이브보다는 5G-V2X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주장했다.
무선통신 전문가는 “글로벌 5G-V2X 표준화·산업 활성화 단체인 5GAA가 우리나라에 5G-V2X 개발에 협업하자고 먼저 손을 내밀었다”면서 “웨이브는 상용화가 이뤄졌다는 이점이 있지만 5G에 강점을 지닌 우리 산업계 이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5G-V2X를 활성화하도록 정부가 의사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표〉5G-V2X 범정부 연구반 과제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