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정부, 스마트제조·공장 생태계 확산 사업 본격 시작...부처 간 역할 분담, 협업 관건

정부가 국내 스마트제조·공장 확산을 목표로 한 '스마트제조혁신생태계 구축사업' 기획에 본격 돌입했다.

사업은 지난 5월 확정된 '스마트제조 R&D 로드맵'을 바탕으로 중·장기 연구개발(R&D) 사업으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 전략을 담은 '스마트제조 공급산업 육성방안'도 연내 공개할 계획이다. 지난 2일 스마트공장 보급을 추진하는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도 출범하면서 정부 스마트제조·공장 생태계 확대 사업에 불이 붙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 스마트제조·공장 생태계 확산 로드맵과 정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산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으로는 범 부처가 참여하는 사업인 만큼 부처 간 역할 분담과 조율, 협력이 중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산업부 '스마트제조혁신생태계 구축사업' 기획 착수...빠르면 연내 예타 도전

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기관에 따르면 산업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제조 생태계 확산을 목표로 한 '스마트제조혁신생태계 구축사업 기획연구'가 이달 시작한다.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가 연구 주관기관, 민간 컨설팅 회사가 참여기관으로 선정돼 관련 사업 기획연구에 착수한다. 이후 스마트제조와 관련한 국책 연구기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중소벤처기업부 등도 참여할 계획이다.

스마트제조혁신생태계 구축사업은 지난 5월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발표한 '스마트제조 R&D 로드맵'을 바탕으로 한 대규모 R&D 사업이다. 산업부는 스마트제조혁신생태계 구축사업에 예산 5000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5~7년 기간으로 준비하는 중장기 사업으로 준비한다. 올해 안에 관련 기획 연구 초안을 만들고, 2021년 사업을 시작한다는 목표다. 이르면 연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과기부, 중기부와도 관련 사안에 대해 협의했다”며 “5000억원 이상 규모 사업으로 준비하고, 2021년부터 사업을 실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산업부는 스마트공장 공급 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스마트제조 공급산업 육성 방안'도 연내 발표한다. 그간 취약점으로 지적된 국내 스마트공장 공급 산업 현황과 기업 육성책을 담을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스마트제조 공급산업 육성방안은 우리나라 스마트제조 공급 산업 현재 수준과 성장동력에 대한 방안을 담을 것”이라며 “스마트제조 R&D 로드맵이 스마트제조 공급 산업에 대한 '각론' 수준의 얘기를 담았다면 공급산업 육성 방안은 '개론'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중장기 스마트제조 밑그림은 이미 그려져...중기부 중심 스마트공장 전담조직 출범

산업부는 지난 5월 31일 발표한 스마트제조 R&D 로드맵에서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중·장기 R&D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2019~2025년까지 우리나라 스마트제조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궤적으로 제시했다. 스마트제조 분야 대〃중〃소 제조기업이 포함된 점이 특징이다. 애플리케이션(앱), 플랫폼, 사물인터넷(IoT)·엣지, 제조 공정·장비 등 대부분 분야와 표준화까지 포괄한다. 시스템과 제조공정〃장비 분야 융합·표준화 연계를 고려했다.

로드맵은 지난해 기준 72%에 불과한 스마트제조 기술 역량을 2025년까지 9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 세계 스마트제조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지난해 1.8%에서 2025년 5.0%로 확대한다는 계획도 담았다.

추진 목표는 △시장 요구를 반영한 주력산업 고도화 △제조공정·장비 고도화 △인공지능(AI)·사이버물리시스템(CPS) 등 첨단기술과 시스템 융합 △스마트제조산업 육성 기반 조성을 제시했다.

산업부뿐만 아니라 전 부처가 참여할 만한 스마트제조 기본 목표를 제안한 셈이다. 이어 연내 '스마트제조 공급산업 육성 방안'까지 나오면 취약한 스마트제조 경쟁력을 보완할 큰 밑그림은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우리나라 스마트제조가 나아가야 할 밑그림을 잇따라 내놓는 바탕에는 우리나라 스마트공장·제조 생태계가 군데군데 비어있다는 판단에 깔린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제조산업협회가 지난해 12월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제조 기술수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마트제조 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 미국을 100%로 봤을 때 72.3% 불과했다. 93.4%를 기록한 독일과 79.9%를 기록한 일본, 79.6%인 유럽연합(EU)과 비교해도 스마트제조 기술 수준이 떨어졌다. 특히 수명 주기 관리시스템(PLM)·DCS·캐드공정(CAx) 등 분야는 최고 기술 보유국과 비교해 각각 50.2%, 58.1%, 50.3% 수준으로 기술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이 같이 군데군데 '구멍난' 기술력으로는 시스템 간 통합 운영이 중요한 스마트제조 분야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지난 2일 스마트공장 전담 조직인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출범했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스마트공장 보급·R&D·표준화를 주도한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포스코 등 대기업과 협업해 2022년까지 중소·중견기업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제조·공장 생태계 확산 정책 잇따라...부처 간 역할 분담·조율 중요

정부 부처별 스마트제조·공장 관련 정책이 시작되고 있다. 스마트공장 보급 주체인 중기부에서 전담조직이 출범하면서 관련 사업이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부처별 역할도 어느 정도 구분이 되고 있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수요 중심 중소기업을 위주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산업부는 제조장비·디지털 전환 정책 전체 밑그림을 그리고, 공급기업 역량을 강화할 방안을 강구한다. 과기정통부는 스마트제조·공장 역량을 끌어올리는데 필수 기술인 5세대(G) 이동통신, 보안 정책을 준비한다.

관련 업계에서는 부처별 스마트제조 정책 수립·추진을 둘러싼 부처별 역할 분담과 협업 관계를 분명히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제조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제조·공장 정책은 어느 한 부처에서 전담할 수 없기 때문에 부처 간 협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대규모 사업을 준비하기 전에 부처 간 역할 조율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