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에스토니아·싱가포르·덴마크…세계가 주목하는 전자정부

에스토니아·싱가포르·덴마크가 디지털 기반 선진 행정 서비스 도입으로 신흥 전자정부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가 성장동력이 신기술 활용과 디지털 혁신이라는 판단 하에 일찌감치 전자신분증 도입부터 디지털 허브 구축, 사용자 중심 행정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전자정부 서비스를 도입했다.

에스토니아는 전자신분증과 국가종합데이터베이스(DB)가 전자정부 핵심이다. 2001년부터 e-ID시스템을 은행·통신회사와 함께 개발, 전자신분증을 2002년 처음 보급했다. 현재 전체 인구 90% 이상이 보유하고 있다.

Photo Image
에스토니아 국기

디지털 인증서 칩이 내장돼 웹사이트·인터넷뱅킹·정부 서비스 등에 카드리더와 간단한 로그인 절차로 본인인증을 할 수 있다. 2012년부터는 심(sim)카드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이용, 모바일ID 서비스도 제공한다. 비영주권자를 위한 e레지던시도 도입했다. 에스토니아 인프라를 활용, 외국인 등 비영주권자에게도 본인인증서와 디지털서명 인증서를 부여할 수 있게 됐다.

2001년 국가종합DB '엑스로드'를 도입했다. 정부·민간 부문을 비롯해 에스토니아 모든 DB 플랫폼을 하나로 연결하는 핵심시스템이다. 공공 기록과 데이터는 물론 금융과 통신 등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도 엑스로드에서 관리한다. 에스토니아 전국 392개 기관과 기업에서 이용하며 67개 서로 다른 DB와 687개 정보 서비스에도 접근할 수 있다.

종이 없는 효율적 정부 구현을 위한 '전자회의'와 2005년 세계 최초 인터넷 투표 실시로 널리 알려진 '전자투표'를 도입했다. 신뢰할 수 있는 다른 국가에 에스토니아 중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대사관'도 설립한다.

Photo Image
싱가포르 국기

싱가포르는 2000년대 시행된 e거버먼트 플랜으로 서비스 전달방식 개혁을 추진했다. 공공서비스를 온라인화하고 이용자 서비스를 효율화했다. 2015년 정보통신 미디어 2025 전략을 수립해 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6대 기술과 이동성과 접속성, 플랫폼 비종속 미디어 콘텐츠와 정보통신과 미디어 융합 등 3대 비즈니스 트렌드를 수립했다.

전자정부 인증 싱패스(SingPass)를 도입해 국가인증카드번호·비밀번호로 60개 정부부처와 기관 개인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487개 데이터셋을 활용 공공데이터를 제공하고 싱가포르 전역 토지·주택·교통·시설 등 방대한 지리·위치 정보를 수록한 뉴 원맵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는 시간대마다 업데이트 되며 맵 스타일은 17가지, 쿼리는 8가지로 지원한다.

싱가포르 정부는 도시형 국가 장점을 살려 스마트시티가 아닌 정부 주도 '스마트 네이션'으로 도약을 국가 마스터 플랜으로 설정했다. 정부와 국민을 연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실시한다. 다양한 전자정부 서비스 제공과 신기술과 접목도 전략 중 하나다.

Photo Image
덴마크 국기

덴마크는 지난 15년간 공공부문 디지털화를 추진했다. 정부 주도로 온라인 서비스를 의무화하고, 2014년 종이문서 종식 선언 등 디지털화로 행정혁신 성과를 거뒀다. 정부·공공은 물론 민간기업과 무역기관, 비정부기구(NGO)까지 협력해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했다.

유럽 최고 디지털 강국 실현을 위해 '디지털 허브 덴마크'를 추진한다. 인공지능(AI)과 IoT·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상업적 활용해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 디지털 환경을 혁신한다.

작년부터 2022년까지 190억원을 투입해 △기업과 교육기관·시장 유기적 연결 △정부 정보통신기술(ICT) 자문위원회 운영 △산학협력 지원 국가디지털기술연구센터 설립 △데이터 활용 위한 개방형 IoT 공통 플랫폼 구축 등을 수행한다.

2014년 정부주도 신기술 활용과 4차 산업혁명 대비를 위해 '메이드(MADE·Manufacturing Academy of Denmark) 디지털'을 조성했다. 정부 투자기관 이노베이션 펀드와 49개 기업, 5개 대학, 3개 연구기관과 덴마크 산업연합(DI)이 자금을 지원해 만든 조직이다.

기술·서비스·산업간 융합(Nexus)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이를 촉진하는 전자정부 생태계 조성을 목표했다. 중소기업 맞춤형으로 개발된 기술을 적극 공유하고, 2017년부터 올해까지 30개 디지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 로봇산업과 육상·선박 간 정보중계시스템·e내비게이션 등 해양 클라우드, 3D프린팅과 클린테크를 중점 공략한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