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이 연내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시스템 설계를 마무리한다. 온나라시스템과 통합방향으로 결정될 경우 기록관리 관련 시장이 사장된다는 지적이다.
윤대현 한국기록협회장은 22일 '한국기록협회 2018 국제세미나'에서 “온나라시스템에 국가전자기록관리를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일각에서 제기된다”면서 “기록관리가 온나라시스템에 통합되면 기록관리 기능만 남게 되고, 솔루션 관리·운영 등은 온나라시스템 사업자가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록관리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30여년간 정부와 산업계가 노력한 것이 물거품되는 것”이라면서 “기록관리 시스템이 하부 시스템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발전·강화돼야 관련 산업도 발전하고 전문 종사자도 늘어난다”고 덧붙였다.
국가기록원은 10년 만에 전자기록관리 시스템 차세대 사업을 준비한다.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설계(BPR·ISP)를 연내 마무리한다. 2020년부터 3년간 300억∼35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업계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시스템이 독립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솔루션을 개발해 배포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기록관련 솔루션 업체 임원은 “온나라시스템과 기록관리 시스템 통합 여부가 업계 큰 관심사”라면서 “기록관리 관련 산업이 계속 발전하기 위해 통합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기록관리시스템(RMS)을 개발해 배포하면서 관련 기업 연구개발 조직과 기술력이 약화됐다”면서 “차세대 시스템 역시 기능을 모듈화해서 배포하면 결국 시스템통합(SI) 사업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록관리 산업 발전을 위해 소프트웨어(SW) 제값주기 문화 정착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송병호 상명대 교수는 “차세대 시스템에서 개발하는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는 용역개발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면서 “SW개발 대가 산정을 제대로 해줘야 서비스 품질도 높아지고 산업 성장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지선 SW 전문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