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3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에서는 자유한국당 정당광고만 등장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다음에 배너형태로 게재되는 정당광고 상품을 자유한국당만 구매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을 비롯한 나머지 정당은 구입하지 않았다. 여당마저 포털 광고를 하지 않는 건 이례적이다.
정당광고는 정책 홍보와 추천 후보자 당선을 목적으로 전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노출된다. 지난 대선 때까지만 해도 선거를 앞두고 정당 홍보 목적으로 활용돼왔다.
네이버 관계자는 “시간 고정형 상품은 1시간동안 정당광고만 나오는 방식”이라면서 “모든 정당이 해당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경우 일부 정당 광고만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31일 0시부터 선거 전날인 6월 12일까지 정당광고에는 자유한국당만 등장한다. 네이버의 경우 시간고정형 옵션이라 선거 기간 내 2일에 걸쳐 총 5시간 노출된다. 다른 광고와 섞여 돌아가는 롤링방식으로도 제공된다.
사용자 IP를 기반으로 광고를 노출하는 후보자 광고와 달리 정당광고는 와이파이뿐 아니라 모바일 사용자에도 보여진다. 광고효과가 크다. 1일 방문자 수가 3000만에 달하는 네이버 모바일 페이지에서 자유한국당 광고만 나오는 셈이다.
이유는 선거보조금이다.
국회에 따르면 선거보조금은 자유한국당이 137억6400여만원으로 가장 많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135억3800여만원 보다 많다. 바른미래당은 98억8300여만원, 민주평화당 25억4900여만원, 정의당 27억1000여만원 순이다. 113석을 가진 한국당이 118석의 민주당보다 2억원 이상 더 많은 보조금을 받은 이유는 20대 총선 득표수 비율에서 앞섰기 때문이다.
다양화된 홍보 채널도 거들었다. 상대적으로 비싼 포털보다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을 활용한 콘텐츠 중심 홍보로 전환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포털 정당광고로는 정책광고 밖에 할 게 없는데 액수 대비 효과가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면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바른미래당 관계자도 “정당광고 시간 고정형 상품 1구좌당 500만원이 기본이라 부담이 된다”면서 “돈을 적게 쓰는 게 이번 선거 전략으로 후보자 광고만 진행하기로 지도부에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개별 후보자 광고는 정당별로 대부분 구입했다. 후보자별 선거전략에 맡겼다.
후보자 광고는 해당 선거구 당선이 목적이라 지역 타게팅 기법을 써서 특정 지역 사용자에만 노출된다. IP 기반이라 모바일에서는 와이파이가 연결된 경우 해당 IP 기준으로 후보자 광고를 볼 수 있다. 3G나 4G 환경에서는 후보자 광고가 보이지 않는다.
네이버와 다음은 본격적인 선거기간에 앞서 청약·배정방식으로 광고를 판매했다. 정당과 후보자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려는 의도다.
청약 배정 판매는 광고를 집행하려는 정당이나 후보자로부터 사전에 신청을 받는다. 만약 판매 후에도 남은 광고 물량은 일반 배너광고처럼 선착순 방식에 따른다. 물론 추가 판매 여부는 별도 공지한다.
포털 측은 “노출되는 모든 선거광고는 '공직선거법' 등 관련 법령에 의거한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면서 “선거광고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운동기간에만 한시적으로 노출되기에 일반 광고보다 더 자주 보일 수 있다”고 밝혔다.
유창선 성장기업부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