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을 엮는 것만으로 저장 및 연산 기능을 갖춘 소자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옷이 스스로 소자 역할을 하는 신개념 웨어러블 기기 구현이 가능해졌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최양규·최성율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특수 코팅한 실을 직조해 멤리스터(Memristor) 소자 기반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멤리스터는 메모리(memory)와 저항(resistor)의 합성어다.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저항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다. 전원이 꺼져도 이전에 통과한 전류의 방향, 양을 기억해 전원 공급 재개 후 저장 내용을 되살릴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소자에 추가로 연산기능을 갖춘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성공했다. 논리회로의 경우 두 개의 입력 창구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0과 1의 이진법 신호로 활용해 연산하는데, 씨줄·날줄의 접촉 위치에 각기 다른 양의 전류를 흘려 유연한 중앙처리장치(CPU)를 구현했다.

연구팀은 직조 면적으로 저장 및 연상능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정 실을 연결하거나 끊어 기능을 세부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으로는 이 기술로 의류형 CPU나 스마트폰 중앙처리장치(AP)를 만들어 '스마트 헬스 의복'에 적용할 계획이다.
최양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진정한 의미의 의류형 회로 구현을 가능하게 한 것”이라면서 “누설 전류를 막는 선택소자도 함께 직조해 기술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