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정부·공공 데이터센터 점검·관리 시급하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정부·공공부문 데이터센터가 지진 등 자연재해와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소홀하게 관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데이터센터는 대국민 서비스를 담당하는 공공재다. 문제 발생 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몫이다. 정부주도 운영 실태 점검과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자체 데이터센터 비중 높아…지진 대비 대책 전무

국가정보화 기본법에 따르면 데이터센터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수의 정보통신기반을 일정한 공간에 집적시켜 통합 운영·관리하는 시설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해 중앙과 지방행정기관, 공공기관 등 667곳을 대상으로 데이터센터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방자치단체(지자체)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비율이 52.9%로 가장 많았다. 중앙행정기관과 중앙행정기관 산하기관은 18.3%, 지자체 산하기관은 10.5% 비율을 차지했다. 분야별로는 교육이 26.1%로 가장 높았다. 행정자치(21.8%),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12.0%), 산업·에너지·시설관리(8.3%) 순으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100㎡ 미만의 소규모 전산실을 운영하는 곳이 절반(51.9%)에 달했다. 100㎡∼300㎡ 미만 중형 전산실을 운영하는 곳이 33.1%(221개)였다. 대형 전산실(300㎡∼500㎡)은 5.8%(39개), 전용 데이터센터급(500㎡ 이상)은 4.9%(33개) 비율을 나타냈다. 통합전산센터를 이용 중인 중앙행정기관(44.3%)에 비해 지방행정기관(56.3%)이 소규모전산실 수준의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비중이 높았다. 지역별로 수도권이 38.5%로 가장 많은 데이터센터를 보유했다. 행정기관이 밀집한 충청권(19.9%)이 뒤를 이었다. 동남권(14.4%), 대경권(10.6%), 호남권(10.3%), 강원권(6.1%)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 데이터센터 가운데 지진에 안전한 곳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비를 갖춘 비율은 25.6%로 저조했다. 면진 설비를 갖춘 곳은 1.9%에 불과했다. 내진 설계는 지진의 흔들리는 힘을 건축물 골조가 변형되는 것으로 흡수한다. 면진 설계는 건물기초와 건물본체 사이에 면진장치를 설치해 지진의 흔들리는 힘이 건물에 전해지지 않게 하는 방식이다. 데이터센터 내 서버, 스토리지 등 주요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면진이 필수다.

한 민간 데이터센터 업체 임원은 “최근 국내서도 지진관련 이슈가 불거지면서 민간에서도 데이터센터 내진·면진 중요성이 부각된다”면서 “지진 발생 시 현 상황에서는 피해 발생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에 이 분야에 강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설계하는 곳이 늘어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데이터센터=전기 먹는 하마?…에너지 효율 관리 필요

데이터센터는 전력 소모로 인해 '전기 먹는 하마'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공공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전력사용량은 증가 추세다. 정부·공공 데이터센터가 2014년 사용한 전력량은 3억3600만kWh다. 2015년 연간 사용량은 3억6000만kWh로 7.1% 증가했다. 전력량은 증가했지만 효율은 떨어졌다. 2014년에 비해 2015년 전력사용효율지수는 0.03%포인트 높아졌다.

공공 데이터센터 관리자가 전력사용량이 얼마인지 조차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도 문제다. 전력사용량 질문에 답한 곳은 166개에 불과하다. 전체 설문 응답자 가운데 75%가 답하지 못했다. 전략사용량과 측정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주요 전기 설비에 대한 점검과 관리도 취약했다. 민간 데이터센터 가운데 전기 설비 부하·부하율을 관리하는 비율이 95%에 달한다. 이에 비해 공공 데이터센터 중 전기설비 부하를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비율은 46.3%로 절반 수준이다. 부하 관리에 별도 기준(부하율)을 갖고 점검하는 곳은 30%에 불과했다. 민간 데이터 센터는 관리기준을 정해 관리하는 곳이 81.6%다.

정전에 대비해 자가발전기를 도입한 비율도 40.2%로 민간(92.1%) 비해 저조하다.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에 이상이 생길 경우 예비회선(이중화)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STS 사용률도 26.7%에 불과했다. 민간(71.4%) 절반에도 못 미친다. 비상사태 발생 시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서비스 장애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민간 대부분 데이터센터가 자가발전기와 STS 등을 이용하는 것도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데이터센터 실태 점검·관리 시급

전문가들은 정부·공공 데이터센터 점검과 관리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현재 정부·공공 데이터센터는 구축과 운영, 평가 전반에 걸쳐 운영 지침조차 없다. 데이터센터 관리는 중앙행정기관 정보자원을 통합한 통합전산센터 중심이다. 이를 지자체와 산하기관을 포괄하는 정책과 지원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인프라 관리도 마찬가지다. 고효율·고집적, 안정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만들기 위해 구축과 운영 지침을 개발해 보급해야 한다. 부처와 지자체 정보자원 통합·조달 사업에 IT장비 '에너지 효율적 장비' 구매를 주요 평가지표로 활용해 고효율 에너지 장비 사용을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인프라 투자도 중요하다. 응답 기관 가운데 신축 계획 또는 투자 계획을 가진 곳은 5%가 채 되지 않는다. 10년 전 노후화 장비를 계속 이용하는 곳도 있다. 노후 장비는 데이터센터 효율뿐 아니라 에너지 소모 등 운영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노후 장비 교체와 재난재해 대비 설비 구축 등을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지자체별로 관리하는 데이터센터를 통합·운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0여년간 데이터센터 분야에 근무한 한 시스템통합(SI)회사 임원은 “예산이 없는 지자체일수록 노후 장비 보유율이 높다”면서 “최근 기술이 발달해 좋은 장비 한 두 대가 10여대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노후화 장비 교체는 필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별로 데이터센터를 통합·관리하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 도입도 가능해질 것”이라면서 “인력 조종 이슈가 있지만 정부가 적극 나서서 실태를 조사하고 조율하는 혁신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자신문 CIOBIZ]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