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를 선도한다]KAIST 내년 적용 AI 커리큘럼 개발 구슬땀

KAIST의 인공지능(AI) 교육 혁신은 내년부터 시작된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개론과 설계 응용' 수업을 시작한다. 이후 커리큘럼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교육 내용 수립, 수업 예시물과 강의 자료 마련 등 과제가 남아 있다. 이를 기획하고 준비하는 전기 및 전자공학부 강의실을 찾았다.

Photo Image
김준모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가 학생들과 내년부터 시작될 '인공지능 개론과 설계 응용' 수업 강의자료를 준비하고 있다. 학생들의 모습을 직접 카메라로 찍어 '보행자 인식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교수님, 갓 입학한 신입생에게는 그런 전문 용어가 어려울 겁니다.”

KAIST N1빌딩 214호. 통계적 추론 및 정보이론 연구실이다. 김준모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가 학생 5명을 앞에 두고 내년도 AI 개론 수업에 적용할 예시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김 교수는 실제 수업처럼 KAIST가 개발한 AI 적용 영상인식 기술 개요와 적용 알고리즘, 발전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런데 앞에서 듣고 있던 박사 과정의 한 학생이 손을 들고 일어나 강의 내용을 지적했다. 김 교수가 모니터에 구현된 '영상 보행자 검출' 기술을 가리키며 “프리시전 리콜이 좋아서 바인딩 박스가 정확하게 사람에게 들어 맞는다”고 말한 뒤였다.

김 교수는 멋쩍게 웃고는 곧바로 노트에 뭔가를 적어 넣었다. 이런 식으로 학생 반응을 보거나 예측해서 내년에 실시할 수업 내용을 조율하는 자리였다. 김 교수는 학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이 과정을 반복했다.

잠시 후 주제가 음성인식 기술로 바뀌었다. 한 학생이 컴퓨터로 프로그램을 구동한 뒤 휴대폰으로 노이즈 음원을 재생했다. 김 교수는 컴퓨터 옆에 놓인 마이크로 '김준모'라고 자신의 이름을 말했다. 그러자 화면에 김준모라는 세 글자가 떠올랐다. 듣기 거북할 정도로 노이즈를 키운 상태에서 동일한 행동을 반복했다. 결과는 똑같이 나왔다.

“이렇게 한눈에 볼 수 있는 AI 기술을 직접 보여주면 누구라도 흥미를 느낄 겁니다. 개론 수업에 쓸 기술 예시들을 차근차근 모으고 있습니다.” 무엇을 하는 것인지 궁금해 하는 기자에게 또 다른 학생이 친절하게 설명했다.

김 교수와 학생들은 이달 초부터 이런 방식으로 AI 개론과 설계 응용 교과목을 개발해 왔다. 내년도 신입생이 좀더 쉽게 AI를 접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벌써부터 준비하고 있는 것이었다.

바로 옆 회의실에서는 체험학습 장소를 물색했다. 박사과정 1년차 김병주 학생이 사전에 정리한 10개 남짓한 리스트를 내놓았다. 이어 다른 학생들도 추가 장소를 추천하는 의견을 쏟아냈다. 네이버, 삼성, LG, SK 텔레콤 등 대기업부터 작지만 높은 기술력을 갖춘 혁신기업까지 30여개 기업 이름이 쏟아졌다.

김 교수는 AI로 회로기판 불량을 판별하는 '고영테크놀로지'를 거론하며 “이름이 알려진 대기업을 찾는 것도 좋지만, AI 기술을 실제 생산 환경에 적용하는 사례를 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수업 시연 및 내용 수정, 갖가지 회의는 수시로 열린다. 신성철 총장을 비롯한 학교 내부, 외부의 관심이 뜨거운 탓이다.

김 교수는 “최근 들어 학교 안팎에서 AI 기대감이 부쩍 높아져서 한편으로는 부담이 된다”면서도 “KAIST 미래를 짊어질 학생들이 AI와 더 친숙해지도록 준비해 내년에 효율 높은 수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