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특정 분야를 넘어 유행어와 수식어로 다뤄지는 세상이다. 모든 대선주자가 4차 산업혁명을 키워드로 정책 구상을 발표한다. 정부 부처와 민간 기업도 주요 정책과 사업 앞머리에 4차 산업혁명을 빼놓지 않는다. 4차 산업혁명에 담론이 넘쳐나지만 정작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지에 대한 얘기는 적다. 이미 늦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세상은 빠르게 변한다. 한국이 4차 산업혁명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하루빨리 `액션플랜`을 마련해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자신문이 주관하는 `정보통신의 미래를 생각하는 모임`은 지난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교육과 연구개발(R&D), 거버넌스`를 주제로 정례 토론회를 개최했다.
송희경(자유한국당), 박경미(더불어민주당), 신용현(국민의당) 의원이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발표했다. 세 의원은 지난해 각 당 비례대표 1번으로 등원한 뒤 `국회 제4차 산업혁명 포럼`을 공동 구성하는 등 4차 산업혁명에 한발 앞서 대응했다.
송희경 의원은 4차 산업혁명 담론을 넘어 구체적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는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지수가 세계 25위 수준”이라면서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성장혁신부총리` 신설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송 의원은 “각 부처를 조율하고 이끄는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교육·산업·문화 혁신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경미 의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를 길러낼 교육시스템 개편을 주문했다. 박 의원은 “앞으로는 특정 직업을 겨냥한 맞춤 교육으로는 우수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면서 “단순 암기가 아닌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창의적 문제 해결과 협업 능력을 기르고, 소프트웨어(SW) 코딩을 통한 논리적 사고력 배양이 요구된다는 뜻이다.
신용현 의원은 정부 R&D 지원정책도 4차 산업혁명에 맞춰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발전 도구로 바라보던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신 의원은 “과학기술이 모든 국정 분야와 연계되는 시대”라면서 “경제도구가 아닌 인간 중심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특정 산업을 이끌어가려 하지 말고 뒤에서 밀어준다는 원칙 아래 안정적 성장과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도 의견을 보탰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과학기술이 산업발전 도구를 넘어 서로 수혜와 혜택을 보는 관계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융합형 인재를 기르려면 교육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면서 “획기적 정책 전환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