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는 미래 전자정부 첫 특징으로 `지능화`를 꼽는다. 공무원이 컴퓨터 도움을 받아 행정 업무를 하는 정보화 시대를 지나 컴퓨터가 공무원 도움 없이 행정 서비스를 자율 제공하는 시대가 온다. 안문석 전자정부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를 `알파고 행정`이라고 표현했다.
전자정부 주관 부처인 행정자치부도 지능화에 우선순위를 두고 발전 계획을 수립했다. 행자부는 지난해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을 마련하면서 `지능정보 기반 첨단 행정`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인지·예측 기반 지능 행정을 위해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한다. 재난·안전·치안 등 복잡한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해 최적의 대안과 정책을 개발하고, 적시 대응하는 지능형 의사결정 체계를 만든다. AI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SW)를 행정에 적용한다. 지능형 행정 빅데이터 기반의 질의응답 큐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한다.
지능형 정부는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민 개개인의 복합된 속성과 요구를 서비스에 반영한다. 국민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선제 파악, 대응한다. 행자부는 정부 서비스를 `리디자인(re-design)` 관점에서 혁신할 방침이다.
보안 측면에서도 새로운 유형의 정보 보안 위협에 대비, 스스로 위험을 인지하는 자기 방어 체계를 갖춘다. 정부 부처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관리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가 AI 기반 통합 보안관제시스템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지능형 정부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가 데이터관리체계를 개선한다. 범정부 정보 유통 허브로 분야별 행정 정보 공동 이용을 확대한다. 궁극으로는 `데이터 중심(data-driven)` 정부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은 `전자정부법`에 따라 처음 수립된 5개년 전자정부 계획이다. 행자부는 지난해 4월 기본계획 수립 후 하반기에 12개 중점 추진 과제 등을 담은 실행 계획을 확정했다.
올해는 2020 기본계획과 관련해 범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4002개, 3조75억원 규모의 사업이 진행된다. 전체 전자정부 예산의 74%에 이른다.
이 가운데 인지·예측 기반 지능 행정 실현 사업 규모는 8998억원이다. 적응형 보안시스템(행자부), 물 환경 관리 의사결정지원시스템(환경부),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문화체육관광부),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보건복지부) 등이다.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