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공데이터 기계 학습 가능 형태로 전면 개방…지능정보 종합대책 수립

공공데이터를 기계가 학습 가능한 형태로 전면 개방한다. 공공·민간 서비스 전반에 지능정보기술을 조기 도입한다. 소프트웨어(SW) 교육을 대폭 강화한다.

정부는 제8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27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지난 3월 지능정보산업 발전 전략에 이어 종합대책 수립계획을 발표했다. 민관합동추진협의회, 지능정보사회추진단을 발족했다.

Photo Image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종합대책은 지능정보사회 도래시 경제·사회적 변화를 조망하고 관계부처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기술·산업·사회로 연결되는 중장기 정책방향과 향후 추진과제를 담았다.

핵심 경쟁 원천인 데이터 수집·저장·분석·활용 기반을 조성한다. 국가 중점데이터 추가산정, 민간 개방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지원, 데이터 지도 작성 등을 추진한다.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연구개발(R&D)로드맵 수립, 뇌과학·산업수학 등 기초과학과 핵심·응용기술 개발, 사이버 보안 대응기술 개발, 국제 공동연구 확대 등도 과제다.

국방, 경찰, 복지, 행정, 국토 등에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한다. 새로운 서비스가 시장에 진입하도록 대규모 실증 테스트 베드를 조성한다.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추진한다. 의료분야 맞춤형 서비스 구현 위해 10만명 코호트 구축, 지능형 헬스케어 로봇을 개발한다. 제조업 도약을 위해 제조 사이버물리시스템(CPS)·3D프린팅 등 스마트 제조기반을 마련한다.

Photo Image

지능정보사회 대비 SW와 스팀(STEAM) 교육을 확대한다. 지능정보영재 5만명을 조기 양성한다. 유연근무제 확대, 일자리 이동지원 서비스 고도화, 신산업·신직업 전문인력 양성, 복지분야 지능정보 기술 개발, 지능정보기술 윤리헌장 제정, 사이버보안대책 등도 수행한다.

정부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중앙정부·자지체·전문가·기업·학계 등이 참여하는 `지능정보사회전략위원회`로 확대한다. 범국가적 대응을 위해 입법부·행정부·사법부 참여 포럼도 구성한다.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