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아프리카 케냐와 중남미 페루에다 한국형 전자정부 수출 거점을 구축한다. 운영되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글로벌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복수 운영 체제로 확대한다. `행정한류`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혀 수출 지원 효과를 극대화한다.
12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행정자치부는 내년에 케냐와 페루에다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설립한다. 부처 간 협의를 거쳐 2017년도 정부예산안에 센터 설립 내용을 반영했다.
전자정부 협력센터는 해외 현지에서 한국형 전자정부 수출을 지원하는 시설이다. 한국과 상대국 공무원·전문가가 상주해 전자정부 공동 연구, 컨설팅, 교육 등을 수행한다. 해당 지역으로 한국형 전자정부를 수출하는 전초기지이자 협력 창구 역할을 한다.
정부는 예산을 이유로 한 곳에서만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운영했다. 2003년 멕시코에 최초 설치한 이후 두 곳 이상에서 운영하기도 했으나 2010년대 들어서는 단일 거점 체제였다. 2013~2015년 3년 동안 한·우즈베키스탄 협력센터 운영을 마친 뒤에야 올해 3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한·인도네시아 협력센터를 개소했다.
대 우즈베키스탄 전자정부 수출은 센터 개소 후 1억8525만달러로 설립 이전의 수출(1500달러)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인근 국가인 키르키스스탄으로 300만달러 규모의 전자선거시스템을 수출하기도 했다. 센터 성과가 입증됐지만 타 지역에 추가 설치하지는 못했다.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시 방문국으로부터 한국형 전자정부 협조 요청이 잇따르면서 추가 설치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상반기 박근혜 대통령의 아프리카, 남미 순방 때 설치 논의가 구체화됐다.
내년에 케냐와 페루 협력센터가 설립되면 인도네시아와 더불어 3곳의 복수 운영 체제로 확대된다. 동남아에 더해 아프리카와 중남미에 수출 거점을 추가 확보한다.
우리나라 전자정부는 지난해 사상 처음 수출 5억달러 시대를 열었다. 전체 규모는 계속 성장했지만 성장률은 주춤하다. 2011년 50%대에 이르던 증가율은 2014년 이후 10%대로 떨어졌다. 과거의 고성장 시대와 다른 수출 전략이 요구된다.
행자부는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다원화해 수출 지원 체계를 강화한다. 인도네시아, 케냐, 페루에 이어 제4, 제5의 협력센터도 추진한다.
행자부 관계자는 “협력센터에서 수출뿐만 아니라 글로벌 전자정부 협력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면서 “다만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 등 처리 절차를 앞두고 있어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