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진 UNIST 교수팀 "DNA 염기서열에 물리법칙 들어 있다"

유전체를 이루는 DNA에도 물리 원칙이 적용돼 있다는 가설이 나왔다.

Photo Image
김하진 교수(뒷쪽)와 유재중 연구원.

김하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유제중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원(이하 김 교수팀)은 `이중나선 DNA가 단백질 없이도 다른 이중나선 DNA 서열을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31일 밝혔다.

이중나선 DNA는 꼬이고 엉켜 염색체를 이룬다. 교과서에는 막대기 모양의 이 염색체를 얽혀있지 않은, 적당히 풀린 실타래 같은 상태로 설명하고 있다.

생물학 관점에서 유전자를 조절하는 현상은 대부분 특정 단백질 기능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물리학을 기반으로 생명 현상을 바라보는 생물물리학자 접근은 달랐다.

김 교수는 “DNA는 원래 강한 음전하를 지녀 서로 밀쳐내는데, 이 사이에 특별한 양이온이 들어가면 마치 원자핵이 전자를 공유해 결합하듯 서로 끌어 당긴다”며 “이번 연구는 DNA 염기서열과 화학적 변형에 따라 밀고 당기는 현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한 것”이라 설명했다.

김 교수는 DNA와 주변에 원자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적용한 시뮬레이션과 DNA 분자 한 쌍을 나노크기의 공간에 가둬 관찰하는 실험을 반복했다.

그 결과 `DNA 사이에 당기는 힘은 메틸기(methyl group)의 분포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유기화학의 기본 단위로 후성유전학의 주요 인자인 메틸기가 DNA 응축을 조절한다는 발견이다.

Photo Image
(a) 한 쌍의 DNA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방법. (b) 두 DNA가 일시적으로 붙는 것을 형광 신호로 측정한다. (c-f) 아데닌(Adenine), 티민(Thymine)으로 이루어진 DNA 사이에 양이온이 많이 위치해 강한 인력을 유발하는 반면 구아닌(Guanine)과 사이토신(Cytosine)으로 이뤄진 DNA는 이중나선의 홈에 양이온이 많이 위치해 인력이 약해지는 것을 원자 수준의 시뮬레이션으로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는 김 교수와 유 연구원 외에 2명으로 모두가 물리학자다.

김 교수는 “DNA는 오랫동안 접하고 알아왔지만 DNA가 세포핵 내에서 어떤 현상을 나타내는 지는 최근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며 “DNA를 이해해 온 오랜 이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3월 22일자에 실렸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