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빅데이터와 가치 사이 괴리 없애는 기술·인력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빅데이터 개념은 자리를 잘못 잡았다’

미래모임에 참석한 IT 업계 전문가의 공통된 생각이다. 빅데이터는 만능이 아니다. 일부 기업 입장에서 과대 포장하다보니 기대가 앞섰다. 우리는 거대한 데이터와 새로운 가치 사이 간극을 메워야한다. 패널에서도 이 괴리를 없애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됐다.

김우주 연세대 교수는 “빅데이터는 능률성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처음부터 대단한 것이 나오지 않는다. 빅데이터를 활용하면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서비스를 만들고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능률을 높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김 교수는 “기술적 단계에서 비즈니스 단계로 전환해야할 시점인데 목적이나 정책 관점에서 빅데이터를 연결시키다 보니 방향성을 잃었다”며 “앞으로 다양한 빅데이터 기술이 나오고 서서히 빅데이터 정확성을 맞춰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활용을 위해 공공 역할이 중요하다. 가장 많은 데이터를 확보해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다. 그만큼 다양한 시도도 있었다. 박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미래전략·빅데이터센터장은 “정부가 많은 데이터를 개방하면서 다양한 빅데이터 사업을 수행하는 토대가 마련됐다”며 “사회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NIA는 청소년 자살 문제, 교통·상권 분석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

빅데이터 강국이라고 하기엔 부족함이 있다. 기술과 인력이 대표적이다. 박 센터장은 “중소기업이나 개인이 당장 빅데이터를 만지기 힘들다”며 “많은 기업이 빅데이터 관련 솔루션 초기 도입 비용을 부담스러워한다”고 말했다. 활용 영역을 넓히기 위해 인력 양성도 시급하다. 활용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가 좀 더 많이 개방돼야 한다.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도 필요하다.

업계 역량도 좀 더 키워야한다. 민승재 삼성SDS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비정형 데이터를 빨리 정형화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빅데이터를 수익화하는 방안을 고민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과학자 역량을 키우고 빠른 속도로 분석이 가능한 체계 마련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