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처럼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 개발 곧…

국내 연구진이 전도성 플라스틱의 전기 전달 성능을 낮추는 원인을 밝혀냈다. 금속처럼 전기가 잘 통하는 차세대 플라스틱 전자장치 개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됐다. 이광희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연구팀은 전도성 플라스틱(PEDOT:PSS) 물질구조를 선택적으로 조절해 전기 전달 수준인 전도도가 저하되는 원인을 찾아냈다고 19일 밝혔다.

Photo Image
이광희 교수 연구팀(왼쪽부터 김나래 박사과정생, 이광희 교수, 강영호 박사)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은 플라스틱처럼 가볍고 유연하며 가공하기 쉽다. 무엇보다 저렴하면서 금속처럼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이다. 가시광 영역에서 빛을 잘 투과하기 때문에 광학재료·전기발광소자(OLED 디스플레이)·플렉시블 디스플레이·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잘 정렬된 결정구조를 갖는 금속과 달리 실타래처럼 무질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금속 대비 최대 1% 정도의 낮은 전기 전도도 때문에 고성능 미래형 전자장치에 응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 내부가 복잡하고 자유자재로 제어가 어려워 전도도 저하의 이유를 찾기가 힘들었다.

이 교수팀은 다양한 용매처리 실험으로 전도성 플라스틱 구조를 나노미터와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조절했다. 실험결과 전기 전도도 저하를 제한하는 요소가 나노미터 크기의 사슬 사이 상호작용에 있음을 밝혀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로 전도성 플라스틱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석을 다졌다”며 “앞으로 유연하고 가벼운 고성능 미래형 플라스틱 전자장치의 구현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