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상생(相生)

상생(相生)은 함께 살아가면서 공존한다는 사전적 의미를 담고 있다. 서로가 이익을 취하고 서로가 발전을 도모한다는 차원에서 공생(共生)보다 적극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영어의 윈윈(win-win)과 일맥 상통한다. 용어 자체만 보면 좋은 의미를 담고 있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적용하면 민감해지고 복잡해진다.

정부가 매번 다양한 형태의 대·중소기업간 상생 정책을 제시하나, 실효성이 크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이유는 있다. 정부 정책 이면에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일정부분 이익을 나눠주거나 납품단가를 조정하는 등 혜택을 줘야한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반가울 수만 없는 것이 대기업 현실이다.

지난해 정부와 업계를 뜨겁게 달군 이슈 중 하나도 대·중소기업 상생이다.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내세운 `초과이익공유제`는 대기업들과 날 선 공방으로 1년 내내 언론으로부터 집중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1년 넘게 치열한 공방을 거친 초과이익공유제는 결국 올 초 `협력이익배분제`로 이름을 달리해 시행하는 것으로 귀결됐다. 최근 지식경제부는 수 년 전 도입된 성과공유제를 확산하겠다고 나섰다. 초과이익공유제보다 이미 법적으로 기반이 마련된 제도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다.

중소기업이 대기업 눈치를 보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다. 정부가 이런 저런 상생정책을 내놔도 환영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득이 되기는 커녕 괜한 부스럼만 만들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힘들기는 언론도 마찬가지다. 갈수록 중소 벤처기업을 취재하기가 어려워진다. 업체와 제품을 홍보하는데 언론만큼 효과적인 수단도 없다. 현실은 그렇지 않다. 대기업에 납품을 하는 기업이라면 더욱 언론을 멀리하려 한다. 자칫 회사가 잘 나가고 있다는 기사가 나올 경우 대기업으로부터 납품단가 인하 압력 등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굳이 기사로 써주지 않아도 좋으니 그냥 내버려 달라는 주문이다.


단적인 예지만, 우리나라 대·중소기업 상생의 현 주소다. 상대적으로 약자인 중소기업과 정부가 상생을 외치는 것은 무의미하다. 키는 대기업이 쥐었다. 글로벌 기업다운 상생에 대한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