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하기관 전산자원도 통합 관리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계기로 정부 산하기관 주요 전산자원(데이터)을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통합·관리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김남석 행정안전부 1차관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유 정보와 같이 보안 필요성이 큰 정보를 통합전산센터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전자신문은 앞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DDoS 공격을 교훈삼아 정부 산하기관도 보안성 강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김 차관은 “전산자원을 통합관리하는 중앙정부부처처럼 보안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산하기관의 전산자원까지도 통합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졌다”며 “시간과 예산상 문제를 감안해 기존 정부통합전산센터를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제3정부통합전산센터 건립 대신 기존 센터를 활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예산 문제가 작용했다. 내년과 내후년 정부 산하기관이 대거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기관 전산자원 통합 적기지만 막대한 예산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판단 때문이다. 대전과 광주에 위치한 제1·2통합전산센터는 각각 1389억원과 1890억원 예산을 투입해 구축했다. 정부는 2009년부터 백업전산센터 설립을 추진해왔으며, 예산 확보 어려움으로 내년에야 설계에 들어간다.

 백업전산센터 구축으로 1·2정부통합전산센터에 여유 공간이 생겼다는 점도 고려했다. 현재 1·2통합전산센터는 일부 시스템을 상호 백업으로 보호한다. 이 기능이 백업전산센터로 이전되면 7~8%가량 여유 서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는 이번 결정으로 460여곳에 달하는 정부 산하기관 전산자원 관리 실태를 파악한다. 기관별 서버 운영 규모와 인력을 포함해 관리 운영 실태 등을 확인한다. 조사는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대부분 정부 산하기관이 10명 안 되는 인력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 외부 해킹 공격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실태파악 결과 및 백업전산센터 설립에 따른 여유 공간을 고려해 통합전산센터로 이전하는 전산자원 규모를 결정할 전망이다.

 현재 청와대 등 세 곳을 제외한 48개 중앙정부부처 전산자원은 8800대 규모 서버를 보유한 대전·광주 통합전산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다. 통합전산센터가 외부 사이버 공격으로 정보 유출 등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없다. 하지만 통합전산센터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늘고 있다. 올해만 해도 외부 사이버 공격 건수가 5700만건에 달한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