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DTV 활성화 3대 과제

국내 디지털TV(DTV) 활성화를 위해 TV 구입비용 경감, 케이블방송의 조기 디지털 전환 및 소비자 중심의 킬러 애플리케이션 발굴 등 3대 과제가 최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 박팔현 연구원은 “DTV 전송방식 논쟁으로 허비했던 지난 4년을 되찾기 위해 누적돼 있는 대기수요를 실수요로 전환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휴대폰에 이어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DTV 시장활성화를 위한 3대 과제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소세 폐지 및 정부보조금 지원=박 연구원은 우선 특소세 면제나 정부보조금 지원을 통한 가격인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프로젝션TV와 PDP TV에는 각각 5.6%, 0.8%의 특소세가 부과되고 있어 특소세가 면제될 경우 소비자는 200만원 프로젝션TV를 구입하면서 13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탈리아는 DTV용 셋톱박스를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국고에서 약 22만원(150유로)을 지급하고 있는 만큼 연간 2조원을 웃도는 정보통신촉진기금 등을 활용, 대당 20만원 내외의 정부 보조금을 지원하고 저소득층에는 셋톱박스를 무상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업체들도 현재의 원가구조 대신 DTV가 활성화되는 시점의 원가구조를 감안해 20∼30%의 가격인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대기업·통신사업자 방송진입 허용=박 연구원은 전국 가구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케이블 방송의 디지털 전환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통신사업자 및 대기업이 자유롭게 SO를 인수할 수 있도록 관련규제가 철폐돼야 하고 △통신사업자의 방송 시장 진입을 막아서는 안 되며 △케이블 사업자에 관계없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오픈케이블 방식의 셋톱박스 표준화도 하루 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 중심의 킬러 앱 발굴=소비자를 유인하지 않고서는 대규모 시장을 창출하기 어려우며, 이를 위해 기술중심에서 고객중심으로 DTV에 대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박 연구원은 강조했다. 그는 당초 DTV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떠올랐던 홈네트워크는 구체적인 사업모델이 명확하지 않아 소비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대신 현단계에서 유력한 사업모델로는 △교육·금융·인터넷 및 t커머스 등이 TV매체 속에서 통합된 TV포털 서비스 △전화·케이블방송·인터넷을 하나의 회선으로 제공하는 TPS(Triple Play Service) 등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김원석기자@전자신문, stone201@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