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IPv6 도입 팔 걷었다

차세대인터넷주소체계(IPv6) 도입을 다소 관망했던 미국 정부가 최근 국방성(DoD)과 산·학·관 협력체계를 중심으로 국가 전략적 과제로 인식, 보급·확산 채비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Pv6에 대해 연구개발(R&D) 정도에 그쳤던 지금까지의 행보와 크게 달라진 것으로 앞으로 IT 환경이 IPv6로 급진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방성 마이클 브리그 기술컨설턴트는 5일부터 이틀간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글로벌 IPv6 서밋 코리아 2004’ 행사에 참석, 지난해말부터 미국 정부가 추진중인 IPv6 도입 촉진전략을 소개한다.

 사전에 공개한 발표내용에 따르면 미 국방성은 지난해 자체 발주한 모든 통신장비가 IPv6를 지원토록 의무규정을 신설했으며 △북미 IPv6 태스크포스 △뉴햄파이어대학 상호운용성 연구실 △인터넷Ⅱ△국방성 △인터넷접속사업자(ISP) 등 각급 기관·연구소·업계와 공동으로 ‘Moonv6’라는 IPv6 상용화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다. 특히 미 국방성은 인터넷의 시초인 ‘아파넷’을 태동시킨 진원지였으며 군수산업은 물론 민간 통신산업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쳐왔다는 점에서 IPv6 장비 의무도입 정책이 미칠 파장에 전 세계가 주목했다.

 전자통신연구원(ETRI) 이승윤 박사는 “지난해 이후 국방성과 학계·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미국 정부가 IPv6 상업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면서 “미국이 적극적인 태도로 돌아서서 앞으로 전 세계 인터넷 시장이 IPv6 환경으로 급진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국방부도 앞으로 발주하는 자체 통신장비에 IPv6 의무지원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는 등 한·중·일 동북아 3국과 EU 등 그동안 IPv6 도입작업을 서둘러왔던 각국의 주도권 쟁탈전이 한층 격화될 전망이다.

  서한기자@전자신문, hse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