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4조원에 달하는 기술이전 성과를 달성한 에이비엘바이오가 추가 계약 성과를 자신했다. 대형 계약으로 기술력을 확인한 뇌혈관장벽(BBB) 플랫폼 적용범위 확대를 기대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 사업화 전략을 소개했다. 지난 7일 GSK와 계약금·단기 마일스톤 7710만파운드(약 1460억원)를 포함해 최대 21억4010만파운드(약 4조730억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지 이틀 만이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기술을 이전하는 그랩바디-B는 약물의 BBB 침투를 돕는 기술이다. BBB는 이물질이 뇌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장벽으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장애물로 작용했다. 그랩바디-B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IGF1R)를 표적해 약물을 전달한다.
이 대표는 “올해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를 계기로 3개월간 논의 끝에 기술이전이 성사됐다”면서 “논의 과정에서 최근 대표와 연구개발(R&D) 책임자가 바뀐 GSK가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치료제 개발은 그랩바디-B에 GSK가 개발해온 항체 타깃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 항체 타깃에 대해서만 GSK가 독점 권리를 갖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그외 타깃에 대해 다른 제약사와 기술이전을 추진한다.
이 대표는 “아밀로이드 베타, p-타우 등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단백질 타깃을 세분화할 수 있다”면서 “GSK 계약으로 기존 논의해온 글로벌 제약사 관심이 커진 만큼 올해 추가 기술이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사는 최근 중요성이 대두되는 더블 BBB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담도암 신약 허가도 기대했다. 회사가 개발한 이중항체 신약 ABL001은 미국 컴퍼스 테라퓨틱스가 글로벌 권리를 갖고 있는데, 컴퍼스는 최근 전이성·재발성 담도암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2/3상 연구에서 확인한 객관적 반응률·임상적 이점 등의 유의미한 결과를 발표했다. 컴퍼스는 담도암 2차 치료제 승인을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협의 중이다.
이 대표는 “항암 효과를 보인 만큼 병용 치료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담도암 약가와 치료기간 등을 고려했을 때 신약 승인 시 당초 계약한 총 6000억원의 기술료 수령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 외에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대상 플랫폼 그랩바디-T는 화학 치료제와 삼중 병용요법 인상을 진행하고 있다. 항체약물접합체(ADC)는 미국법인을 중심으로 임상에 돌입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