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성과가 필요”…산학연, 中企 제조 혁신 전략 논의

Photo Image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9일 서울역 인근 서울스퀘어에서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사진=박윤호 기자)

중소기업 제조 '인공지능(AI)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계와 학계, 지원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하 추진단)은 9일 서울역 인근 서울스퀘어에서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제조 분야 인공지능 기술 전문가를 비롯해 산업계, 학계, 지원기관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중기부는 올해 인공지능과 제조데이터 표준을 활용한 제조 혁신과 중소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가들과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제조 AI 정책 방향에 공감하면서도, 성공 사례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함지원 다임리서치 부사장은 “기존 스마트공장 사업은 바우처 방식으로 운영되면서 기술력보다 영업력이 강한 기업들이 주도하는 구조가 됐다”며 “이제는 중소·중견기업이 디지털트윈 등 고도화된 제조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기업과 협력해 실질적인 성공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현 한국공학대학교 교수는 “현재 스마트제조 정책은 소프트웨어 중심이지만, 실제 제조 현장은 공정과 설비에 대한 이해가 핵심”이라면서 “AI 전문가들이 기계 구조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제조용 로봇이나 센서 등 핵심 부품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초적인 하드웨어 생태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AI 적용도 공허한 정책에 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김주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과 이상현 산업연구원 디지털·AI 전환생태계 연구실장의 주제 발표도 진행됐다.

주제 발표를 통해 김 수석연구위원은 “중소 제조기업의 전후방 가치사슬 전반으로 인공지능 적용을 확대하고, 적용 분야 역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현 실장은 “스마트제조산업은 품목·서비스별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어 업종 특성에 맞는 전문기업 지정 요건을 마련해야 한다”며 “전문기업이 자발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유인체계를 설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기부와 추진단은 이날 제시된 업계 및 학계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달 하순 대표공정별 AAS 표준 참조모델 개발 동향과 스마트제조 R&D 2.0 신규 기획을 위한 전략기술 로드맵 추진 방향을 주제로 추가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할 예정이다.

권순재 중기부 제조혁신과장은 “중기부는 산업계 및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중소 제조기업의 AI 기술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국내 스마트제조산업 생태계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안광현 추진단장도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AI 기술의 활용 확대와 제조 생태계 강화를 위해 시뮬레이션, 표준화, SaaS 전환 등을 균형 있게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