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소재 관련 대규모 공공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한다.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소재 R&D 분야에서 핵심 데이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약 300만건의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협력을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양 부처의 협력은 데이터·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것으로, 산업부가 구축한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과기정통부의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개방하게 된다.
300만건의 소재 데이터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을 전문기관으로 추진해 온 '가상공학플랫폼구축(소재 데이터 사업)' 과제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이다. 산업부는 2020년부터 소재 산업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목적으로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 데이터를 축적해왔다.

소재 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분야다. 또한 한 번 채택된 소재는 쉽게 대체되지 않아 '선도자 이익'이 큰 특징이 있다. 장기 R&D의 결과물인 소재 데이터(레시피)는 부가가치의 원천으로,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면 중소기업도 도전적인 소재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300만건의 소재 데이터는 국민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원료, 조성, 공정에 따른 다양한 소재 특성을 담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R&D 성공률을 제고하고 데이터 기반 창업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방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안전하게 제공된다. 데이터안심구역은'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가 지정한 보안 통제 공간으로, 민감하거나 미개방 데이터를 기술적·물리적·관리적으로 보호하면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데이터안심구역은 전국 8개 기관(10개소)이 지정되어 있으며, 교통, 고용,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미개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산업부 소재 데이터가 추가됨에 따라 제조업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AI 학습데이터 기반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양 부처는 양해각서(MOU) 체결 직후, 소재 분야 기업 및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데이터·AI 기반 소재 R&D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AI 기반 소재 연구의 최신 트렌드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방안 △소재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사례 △제조 분야 AI 서비스 확산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재 산업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R&D 혁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라며, “약 5년간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기업들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 시대에는 소재 데이터와 같은 고품질 데이터 개방이 기술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된다”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의 산업 혁신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의 여러 사업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정형 기자 jenie@etnews.com